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주식투자이야기] LG그룹과 중국, 도대체 무슨 관계일까??

LG가 기술이전, 기술유출 우려라는 리스크를 안고서도 중국에 대규모 투자를 실시하는 이유가 도대체 뭘까??

지난번 LGDisplay의 광저우 OLED 합작 공장 설립에 이어,
이번엔 또 LG화학이 난징에 2조 2500억원 규모의 자동차 배터리 공장 설립을 하겠다고 하니, 문득 드는 생각이다.


상황은 여러모로 국내업체에게 불리하게 되어있다. 
왜냐하면, 중국정부에서 중국배터리 관련업체에게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점에 있어서 LG화학측에서는,
 중국의 보조금지급은 2020년에는 폐지될 것이고,
2021년부터는 중국업체들과의 진검승부가 가능할 것이라고 한다. 

그런데, 이건 뭔가 억측이지 않나??

중국이 발표한, 중국제조 2025는 당연히 2025년까지 시행된다.
그때까지 자국산업이 자생력을 가지고, 글로벌적으로는 몰라도 중국내수에서는 1위를 차지해야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는데......

2021년부터는 진검승부??

2020년에 중국정부의 중국 배터리제조회사에 대한 보조금 지급이 중단된다고 누가 과연 장담할수가 있겠는가 말이다.

그리고 국내기업은 중국에 공장을 세울때,
중국정부의 요구사항을 들어줘야 한다.

바로 '기술이전'이다.

미국의 기업이야, 나라가 힘이 있으니 무조건 합작회사로 들어가거나, 기술이전에 대한 요구사항을 들어줄 필요가 없을수 있지만,

약소국인 대한민국은 다르지 않나?


보조금 지급과, 기술이전을 전제로한 공장설립......


그리고 보조금때문에 현재까지도 중국내 사업은 제대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는중이다.

막말로, 2020년에 보조금 지급이 중단되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것인가??
2조원 넘게 예산을 들여 올해말부터 공장준공이 들어간다고 하는데, 2년동안 공장 올려놓고 2020년에 생산능력은 4배로 증가하면 뭐하는가??

그때되면 중국이 '그래 너희들 고생혔다~' 하겠는가??

지금은 LGD처럼, 갑자기 발목잡으면서

야, 합작회사로 세워~~ 이렇게 나오면 어찌될까??

아마....이러한 리스크까지 모두 고려했을텐데.....LG는 왜 이런 결정을 내리게 되었을까??

LG디스플레이, 그리고 LG화학......

LG생활건강등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그래도 그쪽은 기술보다는 브랜드 파워가 더 세지 않나.

무슨 모종의 거래가 있었을까??

LG유플러스의 5G투자시,
LG유플러스는 국내 통신3사 중 유일하게 중국제품인 화웨이를 선택했다.

못해도 몇천억 하는 규모의 예산을 풀어야 했을 것이다.

아래 검색화면을 보자.

반중정서와, 보안우려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도대체 왜?? 왜?? 왜??

정말 LG와 중국간의 무슨 관계가 있는 걸까?

소인배인 나의 머리로는 잘 상상이 가지 않는다.

몇십조원의 자금을 굴리는 대기업 의사결정자들의 생각은 다른걸까??

단기적으로 보고 투자를 들어가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게 아닌걸까?

좀 더 크게보면, 중국과 합작을 하고, 처음에는 밑지는 장사같이 보이더라도,
중국에 공장을 설립하고 제품을 생산해서 중국내수용이든, 수출용이든 만드는 것이 더 이익일 것인가??

중국에 기술을 어느정도 이전하면,
오히려 자극받아서 국내 LG연구진들이 더욱 더 새로운 혁신적인 기술들을 개발해 낸다고 생각하는 걸까?

아니면, 그만큼 국내에서 공장세우고 돌리는게 어려운 환경이라는 걸까??

도저히 모르겠다.

누가 아는 사람이 있으면 알려주기 바란다.




다행히 LG디스플레이는 17,000원이 바닥이었을까? 중국에서 합작회사로 설립으로 시행하는 것으로 승인받았다는 소식에 다시 2만원을 넘어섰으니까 말이다.


주가는 기술이전이라는 악재보다, 아무래도 불확실을 더 싫어하나 보다. 
일봉을 보면 그래도 많이 올라온것 같다. 

하지만, 주봉을 보면 아직도 멀었다. 





관련글:
[주식투자이야기] 중국발 '치킨게임' LG디스플레이의 운명은 어찌될 것인가??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주식투자이야기] 폴루스홀딩스, 폴루스바이오팜을 통한 우회상장 (제2의 매직마이크로가 된것인가??)

폴루스라는 제약회사가, 경기도 화성에 공장을 짓는다는 소식을 듣고, 인건비가 인도나, 중국, 그리고 제3세계 나라들보다 더 비싼 대한민국에 왜?? 라는 궁금증이 발동했고, 어떤 회사인지 궁금하여 관련 기사를 먼저 찾아보게 되었다. 네이버 검색대에 나온 신문기사를 1번과 2번으로 나누어 보았다. 1번에서 알수 있는 사실이 '폴루스바이오팜'이 있고, '폴루스'가 있다. 2번은 폴루스는 2년전 창업 셀트리온 출신 핵심 인력이 창업한 회사가 '폴루스'라는 것을 알수 있고, '글로벌 바이오 복제약 시장에...' 까지만 나와있다. 1번 기사들을 보고 드는 느낌은 아~~~폴루스는 '지주회사'이고,  폴루스바이오팜은 폴루스의 자회사 인데, 어떠한 사유로인해서 합병을 하는구나?? 라고 단순히 생각이 든다.  그리고 2번에서 '셀트리온'이라는 단어가 눈에 띄면서, 뭔가 이와 연관된 회사라면 '대박'?? 이정도까지 간단하게 추측해 보고 넘어가보자. 폴루스나 폴루스바이오팜이 상장회사 주식이라면 더 자세한 정보를 찾아볼수 있겠다 싶었다. 참, 여기에서 첫번째 궁금증은 어느정도 해소가 되었다. 단순히 많은 기술적인 사항이 들어가지 않는 저가의 API와 같은 공장은 인도나, 중국등지에 설립하는것이 좋을수 있겠지만, 핵심 연구인력이 상주해야한다면 당연히 본사지역이나 본사와 가까운 주요도시거점에 공장을 설립하는게 맞을 것 같다. 이잉?? 맨 아래 빨간색으로 표시한 네모박스를 먼저보자. 바이오팜이라고 해서 제약회사인줄 알았는데, 매출구성이 이게 모냐? 97%이상이 통신장비 매출이고, 나머지 약3%가 용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칸 네모박스 위를 보면, 2018년 1월 26일에 사명을 지금과 같이 바꿨고, 맨 위의 네모박스를 보면, 최대주주가 바로 '폴루스홀딩스'라는 것을 알수 있다. 과연 폴루스가 지배주주 일꺼라는...

[부동산투자이야기] 비싼 아파트를 사면, 돈을 깔고 앉는 것일까??

평소에 이런 생각을 많이 했다. 비싼 아파트를 사고나면, 그만큼의 쾌적한 거주환경에서 생활할수는 있겠지만, 자칫 너무 많은 돈을 거주비에 들이는게 아닐까? 어차피 부자여서 비싼 아파트나, 전원주택에 호화롭게 살아도 된다고하면 상관없지만, 돈 없는 30~40대들이 빚까지 얻고 목돈 들여 큰맘먹고 최소 6~7억짜리 서울의 신규 아파트를 구매했다고 생각해보자. 7억짜리 아파트에 산다고해서, 생활수준이 크게 나아지는가?? 개선이 되는가?? 아니면 월급이 오르는가? 사업이 잘 되는가?? 현재시세로 23평대 약 7억정도되는 아파트에 산다면, 평당 3천만원이 된다. 평당 3천만원이면, 나름 이름있는 서울의 아파트일 가능성이 많다. 강남은 말할것도 없이 당연히 훨씬 더 비싸고, 20평대에 7억정도면 분당 판교지역이거나 광명 철산지역정도 될것 같다. 이렇게 서울의 비싼 아파트에 산다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 원래 집에 돈이 좀 있었거나, 기존에 부동산으로 돈을 좀 벌어놓은 사람이라면 모르겠다. 하지만 단순히 한달에 세후 월급 300백 정도 버는 월급쟁이 직장인이 기존 전세보증금이나 3~4억짜리 아파트를 팔고 추가로 3~4억을 대출받아 매수할 경우 말이다. 어떻게되었건, 같은 동네주민으로서 수준을 엊비슷하게 맞춰가야할것이고, 맞춰가려 하다보면 생활비만 더 지출할것 같다.  그냥 혼자산다면 별로 신경쓸게 없겠지만, 아이를 키우는 집이라면 얘기가 많이 달라진다. 엄마들끼리의 커뮤니티가 형성되고, 학원이라도 몇개 같이 보낼려고 하거나 공동과외수업을 받자고도 할수 있다. 입히는 옷가지부터 고급자전거, 인라인 스케이트등 놀이기구는 물론이고 장보는 물가도 더 비쌀것이다. 대한민국에서 남부럽지 않게 살기란 참 힘든 일인것 같다. 결국 비싼 아파트에 사는것은 외적으로보이는 이미지일 뿐이지...실속은 없다. 이렇게 얘기하면 다른 생각을 가지고 따지는 사람들이 꼭 있다. 부자동네에 살아야 부자들과 더 많이 어울릴수 있고, 정보도 ...

[주식투자이야기] 경보제약, 상장시 공모가대비 뻥튀기 2배.....그 이후는??

경보제약 공모가 (경보제약 주가흐름: 월봉차트) 위 차트를 보면 경보제약의 공모가가 궁금해진다. 도대체 공모가가 얼마였길래, 상장한 해당월에 38,500원까지 상승했던주가가 내리막길을 걷다가 3년째 하락 및 횡보를 하게되는 걸까 싶다. 한마디로 얼마나 뻥튀겨 먹였길래? 라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애초에 공모가가 높았던 것일까? 아니면 상장시초가가 높았던 것일까? 물린 사람은 누구고, 팔고 나온 사람은 누구일까? 그럼 이제, 3년전으로 돌아가 공모가를 찾아보도록하자. (최초 정정전 공모가액 13,000원) (정정후 공모가액 15,000원) 고가인 38,500원대비, 공모가는 15,000원으로 높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상한 점이 있다. 왜 공모가를 13,000원으로 지정했다가 2,000원을 올려 15,000원으로 변경했을까? 13,000원의 2,000원이면 약 15%가 넘는데, 결코 작은 숫자는 아닌 것이다. 아무튼, 공모가가 확인되었으니, 위에서 품었던 의문에 일부는 해결된 것 같다. 부동산으로 빗대어 얘기하자면 청약당첨후, 전매가 풀리자마자 프리미엄 2배먹고 나온것이다. 왜?? 공모가 15,000원에 상장 시초가가 30,000원, 최고가 38,500원, 최저가가 28,100원이니 못해도 1달안에 2배는 먹었을꺼라는 것이다. 청약한지 1달도 채 못되어 2배가 넘는 수익율이라면...... 이정도 수익율이면 할만 하지 않은가? 그래서 공모주만 연구하는 사람이 있는지도 모르겠다. 그렇지만, 여기서 추가로 생각해 봐야할 것이 있다. 바로 '보호예수' 이다. 공모주투자만 해도 이렇게 뻥튀기가 되는데, 상장전 장외주식을 들고 있었던 대주주나, 기타임원들의 시세차익은 안봐도 비디오다. 그래서 일반 투자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상장후 작게는 6개월에서 길게는 5년까지 보호예수기간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우리사주조합의 물량도 팔지 못했을것이라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