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1월, 2016년 11월 돈이 된다고 생각하는 헤지펀드들이 서로 먼저 그리고 많이 위안화 대출을 하려고 하니, 하이보(HIBOR) 금리가 오름. 대출금리가 오르지만, 그보다 더 환율이 오르면 돈이 됨. 왜냐? FX선물환 레버리지가 기본 30배~60배가 되기 때문에, 환율이 1%로만 올라도 최소 30% 수익이 되기 때문이다. 그럼 환율이 10%올랐을땐? 300%가 됨. 1억원을 투자해서 레버리지로 30억을 만듦. 예) 30억 x 1% = 3,000만원 1억 x 30% = 3,000만원 30억 x 10% = 3억 1억 x 300% = 3억 외국 헤지펀드들은 아주 쉽게 돈을 벌수 있다고 생각하고 여기에 투자한다. 단, 이 방법은 위안화가 절하(위안화 환율이 오름_즉, 가치가 떨어짐) 된다는 가정하에 쓸수 있는 투자 방법인데 주로 외국 투기세력들이 사용한다고 한다. 중국은 수출경쟁력을 높여야 하기 때문에, 위안화 약세를 용인하는 편이고 요즘과 같이 미국과 무역전쟁을 벌일때는....조금 더 그 의지치를 민간인인 나도 쉽게 읽을수가 있다. 미국이 관세 10%를 때리면, 중국은 환율을 10% 더 내려버려서 관세효과를 상쇄시켜버릴려고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보이는 손(정부의 시장개입)이 외환시장에 개입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홍콩당국은 레버리지 한도를 최대 20배로 낮추겠다고 발표했다. 그래야, 투기세력이 안나댈것 아닌가...... 그래서인지, 위 캡쳐화면 맨 오른쪽에 보면, 2015년, 2016년과 달리 미국달러화 강세에도 불구하고, 금리는 하락하고 있다. 투기세력은 지구상에서 가장 스마트한 핫머니일텐데, 어쩐일일까?? 위 한국경제방송에서는 '이상한 현상'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투기자금이 사이보(SIBOR_상해쪽 금리)로 쏠리거나, 싱가폴을 이용했기 때문일수도 있다고 했다. 하지만......아직 밝혀진 바는 없다. 아니면, 이미 많은 달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