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호르무즈해협인 게시물 표시

국제유가 200불 가나?? (이란: 호르무즈 해협봉쇄, 예멘: 바브 알 만다브 해협봉쇄)_그리고 편서풍타고 날아오는 중국방사능

A: 호르무즈 해협 (페르시아만 입출입로) B: 바브 알 만다브 해협 (홍해 입출입로) 이제 슬슬 발동이 걸리고 있는 것 같다.  트럼프의 유가 올리기 작전 말이다.  오바마가 풀어준 이란의 경제제재를 트럼프가 다시 발동시켰다.  왜일까? 그래야,  기름과 가스가 많이 필요한 중국이 힘들어지고, 중국을 견제해줄수 있는 러시아가 클수 있다.  에너지 수요의 70%이상을 수입하는 중국이, 기존처럼 중동에서 안정적으로 기름을 가져올수 없고, 미국산 셰일가스를 수입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을 만들면,  미국은 중국과의 무역전쟁에서 적자를 대폭감소시킬수 있다.  그리고 얼마전 아래 신문기사를 읽고, 무역전쟁이 이제 거의 마무리 단계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왜냐면, 중국이 보복관세 품목에서 미국산 원유를 제외하기로 했다는 소식 때문이다.    (중략) 미국산 셰일 오일의 힘이 또 한 번 확인됐습니다. 중국 정부는 9일, 오는 23일부터 25% 보복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160억달러어치 미국산 상품에서 미국산 원유를 제외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당초 중국은 액화석유가스(LNG)와 디젤, 휘발유 등 에너지를 집중 겨냥했지만 뒤늦게 미국산 원유는 빼버렸습니다. 중국 정부는 원유를 제외한 이유에 대해 뚜렷하게 설명하지 않고 있습니다.   (중략) 출처: 셰일에 굴복한 중국, 셰일로 세계 흔드는 미국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8108691i 원유수입이 핵심인데......뚜렷한 이유없이 원유부분은 무역제재품목에서 빼버렸다니,  정말 이상하지 않은가?  중국이 아는지 모르는지...... 이상하게도 중동상황은, 점차 악화되고 있다.   중동상황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