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생수대란인 게시물 표시

이번에는 생수대란 인가??

추석전에 재미난 기사하나가 떴다. 중국 때문에 세계 생수의 씨가 마르고 있다 http://news1.kr/articles/?3714175 이 기사전에 많은 이들에게 회자되고 있던 내용은, 2000년대 초반, 중국인들이 드디어 씻기 시작했다였다. 씻기 시작하면서 부터 물을 많이 쓰기 시작했고, 제대로 씻으려면, 비누, 샴푸, 로션등등 생활용품부터 욕조시설, 배관관련사항등등 전방산업이 발전했다. 중간에 어떤 이슈가 나왔는지는 모르겠지만, 물과 관련해서는 후속타로 나온게 위 기사내용일듯 싶다. 중국인들이 드디어 마시는 물, 생수에 대해서도 신경쓰고 있다는 것이다. 환경고려없는 급속한 공업화로, 수돗물을 마시는 걸 꺼리는 건 당연하고, 짝퉁이 하도 많으니, 중국산 생수자체를 꺼린다는 것이다. 중국 북경 올림픽 전 2005년쯤 중국에 갔을때에도, 신기한 경험은, 마트에서 사먹는 생수도 뭔지 모르게 뚜껑이 쉽게 열리고, 물을 마셔보면 쐐~~~한 느낌과 맛이 났었다는 것이다. 일주일 관광와서 며칠간 사먹은 나 조차도 이렇게 느끼는데, 현지인들은 오죽하겠는가, 중국 생수관련 업체가 호주, 뉴질랜드와 같은 산좋고, 물좋은 동네에 가서, 직접 채수(물을 퍼담는 행위)를 한다고 하니, 이제 전세계 생수 자원 고갈은 물론, 중국인들이 자주 찾는, 제주도 삼다수, 중국인들이 장백산이라 부르는 백두산에서 퍼온다는 백산수? 까지 위태롭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그로인한 파급효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생수업체들의 주가상승??? 현재 중국인들의 개인당 생수 소비는 엄청나게 낮다고 한다. 아래 기사 일부내용을 참조하자. (중략) 2013년 이후 중국에 수입되는 생수는 3배 이상 급증했다. 2013년 중국으로 수입되는 생수는 2억 병을 넘지 않았다. 그러나 불과 5년 만인 2018년 생수의 수입은 7억 병에 육박하고 있다. 중국은 세계 인구의 거의 20%를 차지하고 있지만 수자원은 전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