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화 달러환율이 오르면, (중국돈 가치가 떨어지면↓) 중국 수출주가 좋아지고, 위안화 달러환율이 내리면, (중국돈 가치가 올라가면↑) 중국 내수주가 좋아진다. 간단하게 생각해서 이런 원리를 바탕으로 전략을 짜본다. 그러면, 무엇이 위안화 환율의 등락을 결정하게 되는지 알아야 한다. 그런데, 중국 위안화 환율은 시장에서 결정되기 보다, 중국당국의 정책에 따라 결정되어 진다. 중국의 외환시장이 시작할때, 인민은행은 위안화 기준환율(CNY)를 정해서 고시하고, 하루 등락은 2%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위 중국위안화달러 환율 그래프 3년치(2번째 그림)를 보면, 3년동안 최고 6.96에서 최저 6.26의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이다. 중국이 어떤 정책을 쓸것인지에 따라서, 근 3년동안 환율이 최고 6.96까지 갈수도 있었고, 최저 6.26까지 갔었던 것이다. 중국은 아직까지 내수를 기반으로 하기보다, 수출을 통해서 달러를 벌어들이기 때문에 위안화의 가치하락, 즉 저평가를 원한다. 그리고 요즘 미국과의 무역분쟁에서, 미국의 고관세율의 효과를 상쇄시키기 위해서, 일부러라도 위안화의 가치를 떨어뜨리려는 경향을 보여왔다. 관세를 먹어서, 수출품이 비싸지는 만큼, 중국돈 가치가 떨어지면, 그만큼 물건값은 싸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언제까지나 이 방법을 쓸수는 없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과, 미국의 경제호황때문에 앞으로 달러는 미국으로 쏠림현상을 보일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미국은 예전 오바마 대통령 이전부터, 중국의 위안화 절상(중국돈 가치를 올려라)을 계속해서 요구해 왔다. 모두 중국의 성장을 견제하기 위함이고, 달러의 순유입을 막기위해서였다. 하지만, 실제로 달러는 중국으로 많이 유입되지는 않은듯하다. 왜냐하면 수출로 벌어들인 막대한 달러가 중국대륙으로 풀리는 순간, 중국돈의 가치는 올라갈수밖에 없기 때문에, 위안화 절하를 위해서라도 중국인들은 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