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아이마켓코리아인 게시물 표시

[주식투자이야기] 인터파크가 인터넷은행을 하면 어떻게 될까??

문재인 대통령이 은산분리 규제완화 발언과 동시에 관련 주식들이 조금씩 들썩거릴 조짐을 보이고 있다. 카카오뱅크의 지분을 가지고 있는 카카오가 3거래일동안 약 10%넘게 상승하는것을 보니 말이다. 그리고 제3의 인터넷전문은행으로 몇몇 기업들이 후보로 거론되고 있는 와중에, 인터파크는 자신이 하고 싶다고 대놓고 홍보하고 나섰다. 유력한 후보사로 꼽혔던 신한은행이나 네이버 유플러스나 SKT등이...아직 계획이 없다거나, 고려중이라는 소극적인 대답과는 상반된다. 왜냐면 대기업들의 경우...아직까지 은산분리 완화에 대한 여론의 뭇매가 두렵기 때문일수도 있다. 어쨋든, 이전 '아이마켓코리아 2편'에서 알리바바와 아이마켓을 비교하는 것 자체가 가당치 않다고 했는데, 아이마켓코리아가 한국의 알리바바라고 하는 몇몇 전문가의 말을 두고 한말이다. [주식투자이야기] 아이마켓코리아 -2편- http://getmoneyball.blogspot.com/2018/08/2.html 그런데 만약 아이마켓코리아를 자회사로둔 인터파크 홀딩스가 인터넷은행이 된다면, 가능할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하였다. 금융부분에서 말이다. '특파원보고, 세계인'에서 알리바바의 금융서비스에 대한 사항을 본적이있다. 거래회사중에 벤처기업이 알리바바에 자금대여 요청을 했는데 1분만에 10억을 계좌에 꽂아주는 모습이었다. 놀랍지 않은가?? 시중의 어떠한 은행도 이와같은 대출프로그램은 없을것이다. 소요시간이 1분이 아니라 10분이라도 마찬가지이다. 100만불(10억)을 그렇게 쉽게 대출해 주는 곳은 국내에 없다. 그렇게 될수 있는 이유는, 평소에 알리바바가 해당 기업과 거래를 하면서, 신용이나 재무상태, 전망등을 잘 알고 있었다는 말이다. 마찬가지다. 아이마켓코리아도 아직 삼성의 비중이 크긴 하지만, 거래처를 1000군데로 늘린상태고, 알리바바와 같이 전자상거래를 통한다는 차원에서 사업모델이 유사한것이다. 그리고...... (중...

[주식투자이야기] 아이마켓코리아 -2편-

어제 새벽에 더운방에서 USB 선풍기 하나에 의지해 비몽사몽으로 글을 쓰다보니 제대로 마무리를 하지 못한것 같다. 그래서 이제 2편이다. 알리바바 얘기를 하면서, 글을 마무리 했었는데, 아이마켓코리아 사업성에 대한 얘기를 하다가 갑자기 왜 알리바바 얘기를 꺼냈을까? 싶었을 것이다. 1편 글에서 MRO 사업성이 별로 좋지 않다고 얘기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네이버에 검색해 보면 2014년 6월달에 최고가인 40,450원을 찍었기 때문이다. (10년동안의 최고가) 인터파크가 장외에서 인수한 금액은 약 22,886원이다. (대금은 약2천억) 컨소시엄을 구성해서 인수했는데, 블랙스톤이라는 곳은 주당 24,100원에 약1천억을 들여 인수하였다. 현재 주가는 약 6~7천원대까지 하락하였는데, 8년전인 2011년의 주당 인수가는 2만원을 훌쩍넘었던 것이다. 그리고 그 이후부터(2011년12말이후) 주가는 다소 등락을 보이긴 하지만 꾸준히 상승하여 2014년 6월말 4만원까지 약2배정도 상승한다. 무엇 때문이었을까?? 난 그 이유를 바로 '알리바바 상장'이라는 사건이라고 보고 있다.  알리바바의 상장은 정확히 2014년 9월달에 시행되었다. 하지만, 그 전인 2014년 상반기때부터, 얘기들이 많았다. 초기에 투자한 손정희 회장의 수익률부터 시작해서, 마윈의 성공스토리등등 말이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업계 전문가라고 하는 사람들이 나와서 하는 말들이, 우리나라에서 알리바바와 같은 회사가 만~~약에 나온다면, '인터파크'를 꼽을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왜냐하면 인터파크가 2009년에 실적이 좋지 않아, 지마켓(G-Market)을 이베이에 약 4천억원에 매각하긴 했지만, 곧바로 실탄을 챙겨놓았다가 2011년말에 B2B 1위 기업인 아이마켓코리아를 컨소시엄을 통해서 인수하였기 때문이었다.  알리바바도 B2B 사업모델을 통해서 성장한 회사이기 때문에, 그럴것이라고...

[주식투자이야기] 아이마켓코리아 -1편-

아이마켓코리아라는 주식은 관심종목에 있지는 않았지만, 지인과 투자에 관한 얘기를 하다가, 사업성이 어떤지 한번 살펴봐야 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글을 올리게 되었다. 아이마켓코리아라는 회사는 한마디로 '구매대행 서비스'를 하는 회사이다. 무엇을 구매대행하느냐 하면 MRO라고 해서 '소모성 자재' 이다. MRO(maintenance, repair and operation) 전문적인 지식이나, 자본력이 필요한 자재가 아니라, 소모성 자재를 구매대행하는데 과연 사업성이 있을까? 이 질문에 답은, "있었다" 과거형이라고 보면 된다. 아이마켓코리아, 줄여서 IMK는 삼성그룹때문에 주목을 받은 회사였다. 삼성그룹자체가 워낙 규모가 큰 대기업이다 보니, 필요한 소모성 자재만 해도 물량이 엄청나다. '조'단위가 넘는 규모이다. 그러다 보니, 삼성그룹차원에서도 원가절감과 업무효율화를 위해서, 소모성 자재를 구매할수 있는 법인을 하나 세운 것이라고 볼수 있다. 삼성의 구매담당자나, 해당 프로젝트 담당자들이, 핵심 원가부품들, 그리고 기술지원에 대한 하도급에만 신경을 써도 시간이 모자란 판국인데, 잡자재처럼 자질구레한 소모성 자재를 구하러 다닐 시간이 있겠는가? 자질구레하다보니 생각보다 종류도 많고, 모든 제품을 최저가로 구매하기도 힘든 상황인데, 투입되는 시간과 노력대비 아낄수 있는 원가는 너무나 미비하다면 어떻게 했겠는가? 그냥 아웃소싱 시키는게 편한 것이다. 거기다 계열사라고 하면 심적으로도 더 편하다. 왜냐하면 그만큼 알아서 원가절감해서 납품가를 맞춰줄것이기 때문이다. 여기까지가 상식선에서 생각해 본, 아이마켓코리아가 만들어지게 된 이유이다. 아이마켓코리아가 처음 상장되면서 이슈가 된 것은 무엇인가?? 삼성과 같은 대기업그룹이 그냥 물량 밀어주면서 최소마진만 챙겨줘도, 회사는 아무런 경쟁없이, 리스크없이 성장한다는 것이다. 한마디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