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나스닥순위인 게시물 표시

Cisco Systems의 전략변화? IT솔루션의 명품화 시도??

시스코 시스템즈는 네트워크 장비회사이다. B2B사업모델이기 때문에 일반인들에게는 조금 생소한 기업일수 있다. 사람들에게 시스코라고 하면, 바퀴벌레 잡는 '세스코'를 먼저 떠올리곤 한다. 하지만, 나스닥 시총 10위권에 드는, 아주 커다란 IT공룡회사이며, (2018년 7/15일 기준, 시가총액 USD 191억, 원화 216조원) 1년에 수십건의 M&A를 통해 성장하는 회사이기도 하다. 그런데, 요즘 성장에 대한 위기감을 느끼고 있는 듯하다. 주가는 2017년 말까지 모르다가 2018년에 와서 길게 횡보하면서 하락하는 모양새이다. 그동안 시스코의 주력제품이었던, 라우터와 스위치는, 경쟁기업인 HP나 Juniper, Dell, Avaya등의 선전으로 시장점유율을 많이 빼앗겼다. 그중에서도 특히 중국업체인 '화웨이'의 약진은.....무서울 정도이고, 제품의 성능도 시스코를 똑같이 카피하여 크게 차이가 없다고 한다. 거기다가 제일 중요한 가격이 똥값이다. 그러니, 유지보수 서비스가 없다. 고장나거나 장애나면 그냥 새제품으로 갈아끼워준다고 하니, IT인프라 투자에 부담이 큰 국내외 기업들은 화웨이 장비 도입에 대한 고려를 하지 않을수 없겠다. 하지만, 이렇게 유사장비나, 아키텍쳐에 대한 라인업 경쟁보다 더 무서운 흐름이 있다. 그건 바로 AWS(아마존 웹서비스)로 대변되는 클라우드 서비스 인것이었다. 그래서 내가 느끼기에는 시스코도 이러한 변화의 흐름을 감지하고 2~3년전부터, 라이선스 기반의 솔루션을 고심하기 시작한다. 머라키라는 회사도 인수하고, 웹엑스 webex와 spark라는 솔루션도 대대적으로 론칭하며 판매촉진을 파트너사들에게 리베이트와 프로모션을 걸기도 하였다. 하지만, 워낙 하드웨어에 대한 볼륨자체가 크고, 하드웨어 설치를 빼놓고서 설명할수 있는 라이선스나 소프트웨어 기반의 솔루션은 마련하지 못한 것이다. 설사 그러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