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무역전쟁인 게시물 표시

"트럼프 너무 얕봤다"… 부메랑 돼 날아온 시진핑 '중국夢'

트럼프를 너무 얕본게 아니라, 자신을 너무 과신한 것이 아닐까?? 신 팍스 아메리카나   中, 성급한 세계패권 도전…위기 자초   中 경제력·기술력 과신하며 대미 통상전쟁에 맞불 작전   보복 카드 마땅치 않고,    경제 상황은 점점 악화, 위안화 가치 석달새 8% 급락 중국 내 시진핑 비판 심화   1인지배 체제 흔들릴 수도 기사전문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81952991 위 파란색으로 표기한 부분이 기사의 주요부분이다. 결과론적으로 볼때, 중국이 너무 나댔다. 1990년대 등소평의 '도광양회'(힘을 기르기전까지는 발톱을 감춘다.) 전략을 너무 빨리 폐기해 버린게 아닌가 싶다.  작년이었을 것이다. 시진핑이 장기집권 체제를 마련하면서, 도광양회 전략은 폐기되고, 중국이 국제질서의 패권을 쥐겠다는 신형 국제관계를 선언하게 되면서, 미중간 무역전쟁의 도화선이 불거졌다.  (네이버에서 '시진핑 장기집권'으로 검색한 뉴스화면) 그런데, 아뿔사.....이건 때가 너무 일렀던 것이다. 이무기가 천일을 채우지 못해, 용이 되지 못하고, 단군신화의 호랑이가 마늘과 쑥을 견디지 못해 동굴을 뛰쳐나온것과 다를바 없는 상황이 되어 버렸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일본의 사례를 예로들며, '제2의 플라자 합의'가 곧 오게될것이라는 썰...도 나온다. 일본은 플라자 합의를 계기로 일본 엔화가 급등하며, 그 이후로 부동산 대폭락과 함께 잃어버린...10년, 20년....이라는 경제침체기를 맞게 된다. 즉, 플라자 합의 전까지 일본이 미국에게 많이 까불었다는 소리다. 그런데, 이번엔 중국 차례다. 중국이 무역관세 장벽에 대응하고자, 위안화를 인위적으로 낮추었는데, 그것을 노리고, 외국인 투자가들은 중국 위안화를 더 팔아제끼게 되면서, 중국당국의 의도와는 다르게, 위안화는 폭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