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의료용로봇인 게시물 표시

[상상극장] 의료용 로봇 '격전지'로 떠오르는 한국 기사......그리고 병원의 공장화 진척

의료용 로봇 '격전지'로 떠오르는 한국 http://news.hankyung.com/health/article?aid=2018082272521 이 기사를 보면, 의료로봇기술이 아주 많이 발전 했다는 것을 알수 있다. 다행스럽게도, 대한민국 의료로봇개발 기술이 뛰어나다고 하니, 어떤 회사의 주식이 유망할지 궁금해 지기도 한다. 위 캡쳐화면을 보면, 복강경수술, 뇌수술, 원격내시경 수술, 인공관절 수술도 있지만, 기사전문에 보면, 척추수술로봇도 하반기에 출시된다고 하니 적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다. 수술용 로봇 시장이 커지게 되면 어떤일이 일어날까? 시장경쟁이 강해질수록, 로봇의 단가가 싸지게 되고, 의료보험까지 적용된다면, 수술비가 저렴해지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그런데, 한편으로 드는 생각은, 과연.....안전할까? 이다. 그리고, 왜 공장에서 사용하는 공작기계가 동시에 떠오르는지 모르겠다. (의료용기계) (자동차 공작기계, 출처: http://economychosun.com/client/news/view.php?boardName=C00&t_num=12102) 옛날에는 가내수공업을 했다.  그 다음에는 공장에서 사람이 손으로 분업해서 생산했다.  그 다음에는 단순반복적인 부분은 기계로 대체했다.  그 다음에는 대부분의 공정을 기계가 대체했다.  그 다음에는 사람이 관리만 한다.  그 이후에는 3D 프린터로 그냥 찍어낸다. 결국, 병원치료라는 것도 비슷하지 않나? 생각이 드는것은 나뿐일까? 옛날에는 의사한명이 다했다. (한명이 진료부터 치료, 약 제조까지) 그런데, 의료시장이 커지면서 분업화 된다. 진료하는 의사 따로 있다. (질병 종류에 따라....) 검사하는 의사도 따로 있다. (전문의 따로) 그 다음 수술하는 의사가 따로 있기도 한다.  약을 제조해 주는 건 또 약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