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상상극장] 의료용 로봇 '격전지'로 떠오르는 한국 기사......그리고 병원의 공장화 진척



의료용 로봇 '격전지'로 떠오르는 한국
http://news.hankyung.com/health/article?aid=2018082272521


이 기사를 보면,
의료로봇기술이 아주 많이 발전 했다는 것을 알수 있다.

다행스럽게도,
대한민국 의료로봇개발 기술이 뛰어나다고 하니,
어떤 회사의 주식이 유망할지 궁금해 지기도 한다.

위 캡쳐화면을 보면,
복강경수술, 뇌수술, 원격내시경 수술, 인공관절 수술도 있지만,
기사전문에 보면, 척추수술로봇도 하반기에 출시된다고 하니 적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다.

수술용 로봇 시장이 커지게 되면 어떤일이 일어날까?

시장경쟁이 강해질수록,
로봇의 단가가 싸지게 되고,
의료보험까지 적용된다면,
수술비가 저렴해지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그런데, 한편으로 드는 생각은,

과연.....안전할까?

이다.

그리고, 왜 공장에서 사용하는 공작기계가 동시에 떠오르는지 모르겠다.

(의료용기계)


(자동차 공작기계, 출처: http://economychosun.com/client/news/view.php?boardName=C00&t_num=12102)


옛날에는 가내수공업을 했다. 
그 다음에는 공장에서 사람이 손으로 분업해서 생산했다. 
그 다음에는 단순반복적인 부분은 기계로 대체했다. 
그 다음에는 대부분의 공정을 기계가 대체했다. 
그 다음에는 사람이 관리만 한다. 
그 이후에는 3D 프린터로 그냥 찍어낸다.


결국,
병원치료라는 것도 비슷하지 않나? 생각이 드는것은 나뿐일까?

옛날에는 의사한명이 다했다. (한명이 진료부터 치료, 약 제조까지)
그런데, 의료시장이 커지면서 분업화 된다.
진료하는 의사 따로 있다. (질병 종류에 따라....)
검사하는 의사도 따로 있다. (전문의 따로)
그 다음 수술하는 의사가 따로 있기도 한다. 
약을 제조해 주는 건 또 약사다.

병원도 공장 라인처럼 철저하게 전문적으로 분업을 해온 것으로 볼수 있다. 

그리고, 병원에도 기계들이 들어온다.
각종 검사장비 및 치료용 기계들 말이다.

이젠 기술이 발달해서, 스마트한 수술용 로봇도 들어왔다.

결국 병원도 공장에서와 마찬가지로 기계가 대부분의 일을 도맡아 하는 시대가 온것이다.


공장에서는, 제품을 만들어낸다. 
그런데 병원에서는 무엇을 만들어내는가?
병원균과 환자를 만들어 내는 것은 아닐까??

아주 비판적으로 생각하면 말이다. 


아직까지는 의료용로봇이,
의사보조역할만 하는것이 사실이고, 실제 의사들이 본다면 말도 안되는 소리일수도 있다.
의사의 역할이 절대적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그런데,
병원이 정말 공장의 생산라인처럼 된다면?

병원도 공장처럼 공장관리인원만 필요할수도 있지 않을까??

진료도 이제 IBM의 왓슨이 한다고 하는데....이것이 지금 얼마나 정확한지는 모르겠지만,
앞으로 더욱 정밀도를 높일것으로 생각이 든다.

의사들은 인건비가 비싸다.
사업가라면, 아무래도 기술과 법이 허락하여 가능한 부분은 모두 기계화 자동화 시키려 할것이다.

잘 팔리는 의료용 장비를 한번 알아보자.
비싸지만 무조건 쓸수 밖에 없는 의료용 장비 말이다.
그리고 아직 많이 설치되지 않은 것이어야 한다.

이미 국내에 많이 설치되어 있는 의료장비는, 수요가 한정되어 있고 줄어들수 밖에 없다.
그러니 해외로 수출되지 않는 이상 성장성이 없는 것이다.

예전부터 병원도 의료장비가 핵심이었다.
종합병원은 모르겠지만,
일반 개업의 같은 경우 의료장비 투자비만 뽑아도 성공이라고 했으니 말이다.
그리고 망하면 고가 의료장비 리스비때문이라는 말도 종종 나왔다.
의료장비만 있으면 의사노릇할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제 수술용로봇까지 현실화, 상업화가 진척되고 있으니,
실질적으로 앞으로 의사들이 할수 있는건,

음......

종합적인 관점에서의
컨설팅 같은것?

이게 뭔소리냐 싶으면,,
아침에 그냥 헛소리 한번 했다 치자.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부동산투자이야기] 비싼 아파트를 사면, 돈을 깔고 앉는 것일까??

평소에 이런 생각을 많이 했다. 비싼 아파트를 사고나면, 그만큼의 쾌적한 거주환경에서 생활할수는 있겠지만, 자칫 너무 많은 돈을 거주비에 들이는게 아닐까? 어차피 부자여서 비싼 아파트나, 전원주택에 호화롭게 살아도 된다고하면 상관없지만, 돈 없는 30~40대들이 빚까지 얻고 목돈 들여 큰맘먹고 최소 6~7억짜리 서울의 신규 아파트를 구매했다고 생각해보자. 7억짜리 아파트에 산다고해서, 생활수준이 크게 나아지는가?? 개선이 되는가?? 아니면 월급이 오르는가? 사업이 잘 되는가?? 현재시세로 23평대 약 7억정도되는 아파트에 산다면, 평당 3천만원이 된다. 평당 3천만원이면, 나름 이름있는 서울의 아파트일 가능성이 많다. 강남은 말할것도 없이 당연히 훨씬 더 비싸고, 20평대에 7억정도면 분당 판교지역이거나 광명 철산지역정도 될것 같다. 이렇게 서울의 비싼 아파트에 산다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 원래 집에 돈이 좀 있었거나, 기존에 부동산으로 돈을 좀 벌어놓은 사람이라면 모르겠다. 하지만 단순히 한달에 세후 월급 300백 정도 버는 월급쟁이 직장인이 기존 전세보증금이나 3~4억짜리 아파트를 팔고 추가로 3~4억을 대출받아 매수할 경우 말이다. 어떻게되었건, 같은 동네주민으로서 수준을 엊비슷하게 맞춰가야할것이고, 맞춰가려 하다보면 생활비만 더 지출할것 같다.  그냥 혼자산다면 별로 신경쓸게 없겠지만, 아이를 키우는 집이라면 얘기가 많이 달라진다. 엄마들끼리의 커뮤니티가 형성되고, 학원이라도 몇개 같이 보낼려고 하거나 공동과외수업을 받자고도 할수 있다. 입히는 옷가지부터 고급자전거, 인라인 스케이트등 놀이기구는 물론이고 장보는 물가도 더 비쌀것이다. 대한민국에서 남부럽지 않게 살기란 참 힘든 일인것 같다. 결국 비싼 아파트에 사는것은 외적으로보이는 이미지일 뿐이지...실속은 없다. 이렇게 얘기하면 다른 생각을 가지고 따지는 사람들이 꼭 있다. 부자동네에 살아야 부자들과 더 많이 어울릴수 있고, 정보도 ...

신세계 스타필드 (Starfield) 과연 성공할 것인가??

위 사진은 코엑스 별마당 도서관에서 찍은 것이다. 코엑스에서 만난 지인이, 이제 코엑스가 아니라 스타필드라고 했다. '무슨 말인가요??" 신세계 스타필드가 코엑스 쇼핑몰을 인수했다고 했다. 인수하면서 위와 같은 별마당 도서관을 설립했다고 한다. 코엑스는 건물 자체의 이름으로 알고 있었는데, 인수자체가 되는 개인이나 법인의 것이었나?? 하는 첫번째 의문이 들었고, 두번째로는 수익성도 없는 별마당이라고 이름붙인 '거대 도서관'을 서울 한복판 금싸라기땅에 설립한 이유가 무엇일까? 회원제도 아니고, 누구나가 자유롭게 입출입이 가능한 도서관 말이다. 궁금증이 일어나서 '코엑스'에 대해서 다시 찾아보았다. '위키백과'에 의하면 코엑스 소유자 : 한국무역협회라고 나와있지 않은가?? 음...그렇다면 코엑스는 넓고 크니까 쇼핑몰만 팔수도 있을까 생각에 상세보기를 눌러 확인해 보았다. 역시나...1979년에 최초에 만들어졌고, 이후 2013년 전체 리노베이션(리모델링)에 들어갔으나, 코엑스몰 은 실적 부진으로 운영권이 신세계로 넘어가 '코엑스 스타필드'가 되었다고 나와있다. 그렇다면 국제기구 행사나 전시회성격의 것을 제외한 코엑스 쇼핑몰에 관한 운영권은 신세계가 가져간다고 보면 되겠다.  신세계가 인수하게된 계기도 기존 쇼핑몰 수익이 좋지 않았기 때문이라는데, 신세계는 무슨 생각으로 인수를 하게 된것일까? 2016년 9월 스타필드 하남을 필두로, 지금 설명하고 있는12월 코엑스 스타필드, 3호점으로 2017년 8월 고양에 스타필드를 설치하였고 앞으로도 마곡, 청라, 안성, 창원, 수원, 구월에도 세운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건..뭐...롯데 따라하기인가?라고 잠깐 생각이 들었으나....소비자들에게 온라인상에서 채워줄수 없는 것들을 오프라인 상점에서 체험하고 시현해주기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듯하다. 그 노력의 일환으로 코엑스 스타필드의 별...

[주식투자이야기] 경보제약, 상장시 공모가대비 뻥튀기 2배.....그 이후는??

경보제약 공모가 (경보제약 주가흐름: 월봉차트) 위 차트를 보면 경보제약의 공모가가 궁금해진다. 도대체 공모가가 얼마였길래, 상장한 해당월에 38,500원까지 상승했던주가가 내리막길을 걷다가 3년째 하락 및 횡보를 하게되는 걸까 싶다. 한마디로 얼마나 뻥튀겨 먹였길래? 라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애초에 공모가가 높았던 것일까? 아니면 상장시초가가 높았던 것일까? 물린 사람은 누구고, 팔고 나온 사람은 누구일까? 그럼 이제, 3년전으로 돌아가 공모가를 찾아보도록하자. (최초 정정전 공모가액 13,000원) (정정후 공모가액 15,000원) 고가인 38,500원대비, 공모가는 15,000원으로 높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상한 점이 있다. 왜 공모가를 13,000원으로 지정했다가 2,000원을 올려 15,000원으로 변경했을까? 13,000원의 2,000원이면 약 15%가 넘는데, 결코 작은 숫자는 아닌 것이다. 아무튼, 공모가가 확인되었으니, 위에서 품었던 의문에 일부는 해결된 것 같다. 부동산으로 빗대어 얘기하자면 청약당첨후, 전매가 풀리자마자 프리미엄 2배먹고 나온것이다. 왜?? 공모가 15,000원에 상장 시초가가 30,000원, 최고가 38,500원, 최저가가 28,100원이니 못해도 1달안에 2배는 먹었을꺼라는 것이다. 청약한지 1달도 채 못되어 2배가 넘는 수익율이라면...... 이정도 수익율이면 할만 하지 않은가? 그래서 공모주만 연구하는 사람이 있는지도 모르겠다. 그렇지만, 여기서 추가로 생각해 봐야할 것이 있다. 바로 '보호예수' 이다. 공모주투자만 해도 이렇게 뻥튀기가 되는데, 상장전 장외주식을 들고 있었던 대주주나, 기타임원들의 시세차익은 안봐도 비디오다. 그래서 일반 투자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상장후 작게는 6개월에서 길게는 5년까지 보호예수기간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우리사주조합의 물량도 팔지 못했을것이라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