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아침 신문기사를 보다보니,
차이나 포비아라는 말이 전면 헤드라인 뉴스로 또다시 등장하는 듯하다.
얼마전, 중국의 Geely 자동차가 메르세데스-벤츠를 자회사로 두고 있는 다임러까지 먹었다(?)는 소식을 듣고 경악을 금치 못했었는데,
이제는 '게임'산업까지 잠식해 들어오고 있다.
그냥 잠식해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축구경기로 치면 한국선수들의 발을 묶어두고 게임을 하고 있는 것이다.
한마디로, 게임이 되지 않는 것이다.
국가간의 패권다툼, 경제전쟁, 시장전쟁에서
올림픽이나, 월드컵과 같은 스포츠멥쉽이나 페어플레이를 기대했다면 그건 큰 오산이다.
한국이 중국시장에서 재미를 볼수 있었던 때는,
마오쩌둥 다음으로 실권을 잡은 등소평이 개혁개방정책을 펴기 시작하면서 부터가 아닌가 싶다.
그러다가 2001년 중국 WTO가입을 기점으로 대한민국의 제1수출국이 미국에서 중국으로 바뀌게 된것이다.
이때만 해도, 중국의 전략은 등소평이 천명하던 '도광양회'(어둠속에서 빛을 기른다: 힘의 과시보다 내실을 추구한다) 였다. 세계의 공장으로 자처하며, 어떻게든 수출물량을 늘려서 경상수지 흑자와 높은 성장률을 유지 하였다.
그런데, 지금은 어떤가?
G2라 불리우며, 미국과 패권다툼을 하고 있다.
그리고 그에 동조하지 않는 주변국들을 압박하기 시작했다. (사드 문제로 갈굼)
기존까지는 아무래도 도광양회 전략으로,
숨어서 힘을 기르면서 조용히 지내오다가, GDP 규모가 미국의 60%에까지 다다르기 시작하자 본색을 드러낸 것이다.
그래서,
앞으로 중국과 경쟁해야하는 한국기업들의 주가는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자동차가 크게 비난받는 이유는,
중국이 그동안 수출해서 번돈으로 몇조원 들여 독일(다임러->메르세데스-벤츠)이나, 스웨덴(볼보)과 같은 유럽 명차회사들의 지분을 사들여 자회사로 만들고 있을때,
어떠한 성장전략도 없이, 한전부지나 10조원 넘게 들여서 사들였기 때문이다.
(10조원이었으면, 유럽의 명차 2~3개는 사들였을것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
굳이......성장전략이라고 하면.....수소차가 있을수 있겠지만,
수소차도 결국 전기에너지로 H2O를 수소로 분해해야하기 때문에, 외부에너지가 필요하다는 것이고, 무엇보다 충전소를 짓는데 천문학적인 예산이 발생하기...쉽게 상용화가 힘들다고 한다.
충전소 비용을 이동식으로 바꿔서 낮춘다고는 하는데......그러면 뭐하나? 한국에 충전소 열심히 짓는다고, 외국에서도 자발적으로 충전소를 짓는다는 보장은 없으니 수출이 힘들다.
그래서 얼마전 행동주의 펀드인 '엘리엇'이 모비스와 글로비스 합병반대로 현대차를 공격했을때도, 일반 주주들이 현대쪽 손을 들어주지 않았던 것이다.
뒤늦게 배당확대한다하고, 주가부양을 나선다고 하면 뭐하나.
현대차 지배구조 '일단 후진'...주주 이익 뒷전ㆍ불확실한 청사진 탓
http://www.investchosun.com/2018/05/24/3226404
2009년도 현대차의 산타페나 베끼던 중국의 Geely라는 자동차 회사는,
이미 우리에게도 친숙한 부자들만 탄다는 메르세데스-벤츠와, 볼보의 모회사가 되었다.
싼타페 베끼던 중국車… 벤츠·볼보 품고 글로벌 시장 '파상공세'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80797911
현대차가 현실성이 떨어지는(?) 수소차나 만들고, 10조원들여서 한전부지 사들일때,
중국 Geely자동차는 글로벌 브랜드 자동차 회사 2개나 인수하고, 중국정부의 보조금과 지원을 받으며 시장점유율을 높이고 있는 것이다.
전기차까지 밀리는 판국에, 기존 엔진차까지 밀리고 있는 실정이다.
자동차, 디스플레이, 반도체, 배터리 그리고 이제는 게임산업까지......
전방위적으로 공격을 당하고 있다.
일본의 시장점유율과 기술일부를 한국이 뺏어온것 처럼,
한국이 중국에 점유율을 넘겨줄수 밖에 없었다는...주장을 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일본은 그나마 아직까지도 소재, 부품쪽에서 경쟁력이 막강하다.
그래서 한국이 수출을 많이 할수록 핵심부품을 공급하는 일본이 이익을 본다는 말이 있었다.
그런데, 지금의 한국은 그정도는 안되는 것 같다.
얼마전까지만 해도, 중국에 납품하는 한국 전기전자 회사들의 수익이 좋을 것이라 판단했지만, 이제는 아니다.
중국이 자국산업을 보호하고 있다. 중국제조 2025가 뭔가?
중국이 기술적인 의존없이 부품부터 완성품까지 모두 가능하게 만들겠다는 것이다.
그래서 힘없는 한국기업은 그냥 속된 말로 발리는 것이다.
처음에는 사드 핑계를 댔다가, 환경규제, 세금문제같은 이유를 댔다가,
이제는 그냥 안돼~ 하면서 막고 있다. 그래도, 별 대응을 못하고 있다. 정부차원에서도 말이다.
그냥, 안된다고 할수 없는 것은, 정부보조금을 이용해서 한국기업상품들의 가격경쟁력을 떨어뜨려버린다.
그 다음은.....무엇일까??
사실 경제재제에 있어서 그 다음은 없다.
그냥 판매허가를 안내어주면 그만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아래에 한국에 202개 게임 수출해 놓고, 중국은 1년넘게 한국게임 허가를 내어주지 않는다는 것은 조금 모순이 있다.
한국에 202개 게임 수출해놓고… 中, 1년 넘게 한국게임 허가 '0'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80836081
중국이 한국에 수출한 것은 IP때문이다. 한국이 IP(지적재산권을)중국에 팔고, 그것을 중국이 제작해서 한국에 역수출하게 만든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기존에 중국에 진출해 사업을 하고 있는 '스마일게이트'나 '넥슨'과 같은 회사는 오히려 단기적으로는 이익일 것이다. 새로운 경쟁자가 중국에 들어오지 못하고 있으니 말이다. 하지만 텐센트나 다른 중국 게업업체를 성장시키기 위해 판권계약시기가 지나면, 그들 역시 조직의 쓴맛을 볼 가능성도 있다.
진정으로 그 다음에 걱정해야하는 것은,
남북통일이 될때....크게 문제가 될것이지만, 그 얘기는 논외로 하고,
한국이 해야하고 할수 있는 것은,
자체 기술력을 키우고, 그것을 지켜나가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새로운 신수종사업으로 역시 빼놓을 수 없는 바이오분야,
그리고 금융산업 부분의 성장을 키워나가야 할것이다.
당연히 기업만 열심히 한다고 다 되는건 아니겠지.
정부가 뒤에서 관련법령들을 제정하고, 규제는 없애는등의 노력이 뒷받침 되어야 할것 같다.
이제는 무작정 중국시장에 너무 의지해서는 안될것 같다.
관련글:
[주식투자이야기] LG그룹과 중국, 도대체 무슨 관계일까??
http://getmoneyball.blogspot.com/2018/07/lg.html
[주식투자이야기] 중국발 '치킨게임' LG디스플레이의 운명은 어찌될 것인가??
http://getmoneyball.blogspot.com/2018/06/lg.html
차이나 포비아라는 말이 전면 헤드라인 뉴스로 또다시 등장하는 듯하다.
얼마전, 중국의 Geely 자동차가 메르세데스-벤츠를 자회사로 두고 있는 다임러까지 먹었다(?)는 소식을 듣고 경악을 금치 못했었는데,
이제는 '게임'산업까지 잠식해 들어오고 있다.
그냥 잠식해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축구경기로 치면 한국선수들의 발을 묶어두고 게임을 하고 있는 것이다.
한마디로, 게임이 되지 않는 것이다.
국가간의 패권다툼, 경제전쟁, 시장전쟁에서
올림픽이나, 월드컵과 같은 스포츠멥쉽이나 페어플레이를 기대했다면 그건 큰 오산이다.
한국이 중국시장에서 재미를 볼수 있었던 때는,
마오쩌둥 다음으로 실권을 잡은 등소평이 개혁개방정책을 펴기 시작하면서 부터가 아닌가 싶다.
그러다가 2001년 중국 WTO가입을 기점으로 대한민국의 제1수출국이 미국에서 중국으로 바뀌게 된것이다.
이때만 해도, 중국의 전략은 등소평이 천명하던 '도광양회'(어둠속에서 빛을 기른다: 힘의 과시보다 내실을 추구한다) 였다. 세계의 공장으로 자처하며, 어떻게든 수출물량을 늘려서 경상수지 흑자와 높은 성장률을 유지 하였다.
그런데, 지금은 어떤가?
G2라 불리우며, 미국과 패권다툼을 하고 있다.
그리고 그에 동조하지 않는 주변국들을 압박하기 시작했다. (사드 문제로 갈굼)
기존까지는 아무래도 도광양회 전략으로,
숨어서 힘을 기르면서 조용히 지내오다가, GDP 규모가 미국의 60%에까지 다다르기 시작하자 본색을 드러낸 것이다.
그래서,
앞으로 중국과 경쟁해야하는 한국기업들의 주가는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자동차가 크게 비난받는 이유는,
중국이 그동안 수출해서 번돈으로 몇조원 들여 독일(다임러->메르세데스-벤츠)이나, 스웨덴(볼보)과 같은 유럽 명차회사들의 지분을 사들여 자회사로 만들고 있을때,
어떠한 성장전략도 없이, 한전부지나 10조원 넘게 들여서 사들였기 때문이다.
(10조원이었으면, 유럽의 명차 2~3개는 사들였을것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
굳이......성장전략이라고 하면.....수소차가 있을수 있겠지만,
수소차도 결국 전기에너지로 H2O를 수소로 분해해야하기 때문에, 외부에너지가 필요하다는 것이고, 무엇보다 충전소를 짓는데 천문학적인 예산이 발생하기...쉽게 상용화가 힘들다고 한다.
충전소 비용을 이동식으로 바꿔서 낮춘다고는 하는데......그러면 뭐하나? 한국에 충전소 열심히 짓는다고, 외국에서도 자발적으로 충전소를 짓는다는 보장은 없으니 수출이 힘들다.
그래서 얼마전 행동주의 펀드인 '엘리엇'이 모비스와 글로비스 합병반대로 현대차를 공격했을때도, 일반 주주들이 현대쪽 손을 들어주지 않았던 것이다.
뒤늦게 배당확대한다하고, 주가부양을 나선다고 하면 뭐하나.
현대차 지배구조 '일단 후진'...주주 이익 뒷전ㆍ불확실한 청사진 탓
http://www.investchosun.com/2018/05/24/3226404
2009년도 현대차의 산타페나 베끼던 중국의 Geely라는 자동차 회사는,
이미 우리에게도 친숙한 부자들만 탄다는 메르세데스-벤츠와, 볼보의 모회사가 되었다.
싼타페 베끼던 중국車… 벤츠·볼보 품고 글로벌 시장 '파상공세'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80797911
현대차가 현실성이 떨어지는(?) 수소차나 만들고, 10조원들여서 한전부지 사들일때,
중국 Geely자동차는 글로벌 브랜드 자동차 회사 2개나 인수하고, 중국정부의 보조금과 지원을 받으며 시장점유율을 높이고 있는 것이다.
전기차까지 밀리는 판국에, 기존 엔진차까지 밀리고 있는 실정이다.
자동차, 디스플레이, 반도체, 배터리 그리고 이제는 게임산업까지......
전방위적으로 공격을 당하고 있다.
일본의 시장점유율과 기술일부를 한국이 뺏어온것 처럼,
한국이 중국에 점유율을 넘겨줄수 밖에 없었다는...주장을 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일본은 그나마 아직까지도 소재, 부품쪽에서 경쟁력이 막강하다.
그래서 한국이 수출을 많이 할수록 핵심부품을 공급하는 일본이 이익을 본다는 말이 있었다.
그런데, 지금의 한국은 그정도는 안되는 것 같다.
얼마전까지만 해도, 중국에 납품하는 한국 전기전자 회사들의 수익이 좋을 것이라 판단했지만, 이제는 아니다.
중국이 자국산업을 보호하고 있다. 중국제조 2025가 뭔가?
중국이 기술적인 의존없이 부품부터 완성품까지 모두 가능하게 만들겠다는 것이다.
그래서 힘없는 한국기업은 그냥 속된 말로 발리는 것이다.
처음에는 사드 핑계를 댔다가, 환경규제, 세금문제같은 이유를 댔다가,
이제는 그냥 안돼~ 하면서 막고 있다. 그래도, 별 대응을 못하고 있다. 정부차원에서도 말이다.
그냥, 안된다고 할수 없는 것은, 정부보조금을 이용해서 한국기업상품들의 가격경쟁력을 떨어뜨려버린다.
그 다음은.....무엇일까??
사실 경제재제에 있어서 그 다음은 없다.
그냥 판매허가를 안내어주면 그만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아래에 한국에 202개 게임 수출해 놓고, 중국은 1년넘게 한국게임 허가를 내어주지 않는다는 것은 조금 모순이 있다.
한국에 202개 게임 수출해놓고… 中, 1년 넘게 한국게임 허가 '0'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80836081
중국이 한국에 수출한 것은 IP때문이다. 한국이 IP(지적재산권을)중국에 팔고, 그것을 중국이 제작해서 한국에 역수출하게 만든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기존에 중국에 진출해 사업을 하고 있는 '스마일게이트'나 '넥슨'과 같은 회사는 오히려 단기적으로는 이익일 것이다. 새로운 경쟁자가 중국에 들어오지 못하고 있으니 말이다. 하지만 텐센트나 다른 중국 게업업체를 성장시키기 위해 판권계약시기가 지나면, 그들 역시 조직의 쓴맛을 볼 가능성도 있다.
진정으로 그 다음에 걱정해야하는 것은,
남북통일이 될때....크게 문제가 될것이지만, 그 얘기는 논외로 하고,
한국이 해야하고 할수 있는 것은,
자체 기술력을 키우고, 그것을 지켜나가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새로운 신수종사업으로 역시 빼놓을 수 없는 바이오분야,
그리고 금융산업 부분의 성장을 키워나가야 할것이다.
당연히 기업만 열심히 한다고 다 되는건 아니겠지.
정부가 뒤에서 관련법령들을 제정하고, 규제는 없애는등의 노력이 뒷받침 되어야 할것 같다.
이제는 무작정 중국시장에 너무 의지해서는 안될것 같다.
관련글:
[주식투자이야기] LG그룹과 중국, 도대체 무슨 관계일까??
http://getmoneyball.blogspot.com/2018/07/lg.html
[주식투자이야기] 중국발 '치킨게임' LG디스플레이의 운명은 어찌될 것인가??
http://getmoneyball.blogspot.com/2018/06/lg.html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