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차이나 포비아, 자동차, 디스플레이, 반도체, 배터리, 게임.....그 다음은?

오늘 아침 신문기사를 보다보니,
차이나 포비아라는 말이 전면 헤드라인 뉴스로 또다시 등장하는 듯하다.

얼마전, 중국의 Geely 자동차가 메르세데스-벤츠를 자회사로 두고 있는 다임러까지 먹었다(?)는 소식을 듣고 경악을 금치 못했었는데,

이제는 '게임'산업까지 잠식해 들어오고 있다.

그냥 잠식해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축구경기로 치면 한국선수들의 발을 묶어두고 게임을 하고 있는 것이다.

한마디로, 게임이 되지 않는 것이다.
국가간의 패권다툼, 경제전쟁, 시장전쟁에서
올림픽이나, 월드컵과 같은 스포츠멥쉽이나 페어플레이를 기대했다면 그건 큰 오산이다.

한국이 중국시장에서 재미를 볼수 있었던 때는,
마오쩌둥 다음으로 실권을 잡은 등소평이 개혁개방정책을 펴기 시작하면서 부터가 아닌가 싶다.

그러다가 2001년 중국 WTO가입을 기점으로 대한민국의 제1수출국이 미국에서 중국으로 바뀌게 된것이다.

이때만 해도, 중국의 전략은 등소평이 천명하던 '도광양회'(어둠속에서 빛을 기른다: 힘의 과시보다 내실을 추구한다) 였다. 세계의 공장으로 자처하며, 어떻게든 수출물량을 늘려서 경상수지 흑자와 높은 성장률을 유지 하였다.

그런데, 지금은 어떤가?

G2라 불리우며, 미국과 패권다툼을 하고 있다.
그리고 그에 동조하지 않는 주변국들을 압박하기 시작했다. (사드 문제로 갈굼)

기존까지는 아무래도 도광양회 전략으로,
숨어서 힘을 기르면서 조용히 지내오다가, GDP 규모가 미국의 60%에까지 다다르기 시작하자 본색을 드러낸 것이다.

그래서,
앞으로 중국과 경쟁해야하는 한국기업들의 주가는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자동차가 크게 비난받는 이유는,

중국이 그동안 수출해서 번돈으로 몇조원 들여 독일(다임러->메르세데스-벤츠)이나, 스웨덴(볼보)과 같은 유럽 명차회사들의 지분을 사들여 자회사로 만들고 있을때,
어떠한 성장전략도 없이, 한전부지나 10조원 넘게 들여서 사들였기 때문이다.

(10조원이었으면, 유럽의 명차 2~3개는 사들였을것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





굳이......성장전략이라고 하면.....수소차가 있을수 있겠지만,

수소차도 결국 전기에너지로 H2O를 수소로 분해해야하기 때문에, 외부에너지가 필요하다는 것이고, 무엇보다 충전소를 짓는데 천문학적인 예산이 발생하기...쉽게 상용화가 힘들다고 한다.

충전소 비용을 이동식으로 바꿔서 낮춘다고는 하는데......그러면 뭐하나?  한국에 충전소 열심히 짓는다고, 외국에서도 자발적으로 충전소를 짓는다는 보장은 없으니 수출이 힘들다.

그래서 얼마전 행동주의 펀드인 '엘리엇'이 모비스와 글로비스 합병반대로 현대차를 공격했을때도, 일반 주주들이 현대쪽 손을 들어주지 않았던 것이다.

뒤늦게 배당확대한다하고, 주가부양을 나선다고 하면 뭐하나.

현대차 지배구조 '일단 후진'...주주 이익 뒷전ㆍ불확실한 청사진 탓
http://www.investchosun.com/2018/05/24/3226404


2009년도 현대차의 산타페나 베끼던 중국의 Geely라는 자동차 회사는,
이미 우리에게도 친숙한 부자들만 탄다는 메르세데스-벤츠와, 볼보의 모회사가 되었다.

싼타페 베끼던 중국車… 벤츠·볼보 품고 글로벌 시장 '파상공세'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80797911

현대차가 현실성이 떨어지는(?) 수소차나 만들고, 10조원들여서 한전부지 사들일때,
중국 Geely자동차는 글로벌 브랜드 자동차 회사 2개나 인수하고, 중국정부의 보조금과 지원을 받으며 시장점유율을 높이고 있는 것이다.

전기차까지 밀리는 판국에, 기존 엔진차까지 밀리고 있는 실정이다.


자동차, 디스플레이, 반도체, 배터리 그리고 이제는 게임산업까지......
전방위적으로 공격을 당하고 있다.


일본의 시장점유율과 기술일부를 한국이 뺏어온것 처럼,
한국이 중국에 점유율을 넘겨줄수 밖에 없었다는...주장을 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일본은 그나마 아직까지도 소재, 부품쪽에서 경쟁력이 막강하다.
그래서 한국이 수출을 많이 할수록 핵심부품을 공급하는 일본이 이익을 본다는 말이 있었다.
그런데, 지금의 한국은 그정도는 안되는 것 같다.
얼마전까지만 해도, 중국에 납품하는 한국 전기전자 회사들의 수익이 좋을 것이라 판단했지만, 이제는 아니다.

중국이 자국산업을 보호하고 있다. 중국제조 2025가 뭔가?
중국이 기술적인 의존없이 부품부터 완성품까지 모두 가능하게 만들겠다는 것이다.

그래서 힘없는 한국기업은 그냥 속된 말로 발리는 것이다.
처음에는 사드 핑계를 댔다가, 환경규제, 세금문제같은 이유를 댔다가,
이제는 그냥 안돼~ 하면서 막고 있다.  그래도, 별 대응을 못하고 있다. 정부차원에서도 말이다.

그냥, 안된다고 할수 없는 것은, 정부보조금을 이용해서 한국기업상품들의 가격경쟁력을 떨어뜨려버린다.


그 다음은.....무엇일까??

사실 경제재제에 있어서 그 다음은 없다.

그냥 판매허가를 안내어주면 그만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아래에 한국에 202개 게임 수출해 놓고, 중국은 1년넘게 한국게임 허가를 내어주지 않는다는 것은 조금 모순이 있다.

한국에 202개 게임 수출해놓고… 中, 1년 넘게 한국게임 허가 '0'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80836081

중국이 한국에 수출한 것은 IP때문이다.  한국이 IP(지적재산권을)중국에 팔고, 그것을 중국이 제작해서 한국에 역수출하게 만든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기존에 중국에 진출해 사업을 하고 있는 '스마일게이트'나 '넥슨'과 같은 회사는 오히려 단기적으로는 이익일 것이다. 새로운 경쟁자가 중국에 들어오지 못하고 있으니 말이다. 하지만 텐센트나 다른 중국 게업업체를 성장시키기 위해 판권계약시기가 지나면, 그들 역시 조직의 쓴맛을 볼 가능성도 있다.


진정으로 그 다음에 걱정해야하는 것은,
남북통일이 될때....크게 문제가 될것이지만, 그 얘기는 논외로 하고,


한국이 해야하고 할수 있는 것은,
자체 기술력을 키우고, 그것을 지켜나가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새로운 신수종사업으로 역시 빼놓을 수 없는 바이오분야,
그리고 금융산업 부분의 성장을 키워나가야 할것이다.

당연히 기업만 열심히 한다고 다 되는건 아니겠지.
정부가 뒤에서 관련법령들을 제정하고, 규제는 없애는등의 노력이 뒷받침 되어야 할것 같다.

이제는 무작정 중국시장에 너무 의지해서는 안될것 같다.

관련글:
[주식투자이야기] LG그룹과 중국, 도대체 무슨 관계일까??
http://getmoneyball.blogspot.com/2018/07/lg.html


[주식투자이야기] 중국발 '치킨게임' LG디스플레이의 운명은 어찌될 것인가??
http://getmoneyball.blogspot.com/2018/06/lg.html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주식투자이야기] 폴루스홀딩스, 폴루스바이오팜을 통한 우회상장 (제2의 매직마이크로가 된것인가??)

폴루스라는 제약회사가, 경기도 화성에 공장을 짓는다는 소식을 듣고, 인건비가 인도나, 중국, 그리고 제3세계 나라들보다 더 비싼 대한민국에 왜?? 라는 궁금증이 발동했고, 어떤 회사인지 궁금하여 관련 기사를 먼저 찾아보게 되었다. 네이버 검색대에 나온 신문기사를 1번과 2번으로 나누어 보았다. 1번에서 알수 있는 사실이 '폴루스바이오팜'이 있고, '폴루스'가 있다. 2번은 폴루스는 2년전 창업 셀트리온 출신 핵심 인력이 창업한 회사가 '폴루스'라는 것을 알수 있고, '글로벌 바이오 복제약 시장에...' 까지만 나와있다. 1번 기사들을 보고 드는 느낌은 아~~~폴루스는 '지주회사'이고,  폴루스바이오팜은 폴루스의 자회사 인데, 어떠한 사유로인해서 합병을 하는구나?? 라고 단순히 생각이 든다.  그리고 2번에서 '셀트리온'이라는 단어가 눈에 띄면서, 뭔가 이와 연관된 회사라면 '대박'?? 이정도까지 간단하게 추측해 보고 넘어가보자. 폴루스나 폴루스바이오팜이 상장회사 주식이라면 더 자세한 정보를 찾아볼수 있겠다 싶었다. 참, 여기에서 첫번째 궁금증은 어느정도 해소가 되었다. 단순히 많은 기술적인 사항이 들어가지 않는 저가의 API와 같은 공장은 인도나, 중국등지에 설립하는것이 좋을수 있겠지만, 핵심 연구인력이 상주해야한다면 당연히 본사지역이나 본사와 가까운 주요도시거점에 공장을 설립하는게 맞을 것 같다. 이잉?? 맨 아래 빨간색으로 표시한 네모박스를 먼저보자. 바이오팜이라고 해서 제약회사인줄 알았는데, 매출구성이 이게 모냐? 97%이상이 통신장비 매출이고, 나머지 약3%가 용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칸 네모박스 위를 보면, 2018년 1월 26일에 사명을 지금과 같이 바꿨고, 맨 위의 네모박스를 보면, 최대주주가 바로 '폴루스홀딩스'라는 것을 알수 있다. 과연 폴루스가 지배주주 일꺼라는...

[부동산투자이야기] 비싼 아파트를 사면, 돈을 깔고 앉는 것일까??

평소에 이런 생각을 많이 했다. 비싼 아파트를 사고나면, 그만큼의 쾌적한 거주환경에서 생활할수는 있겠지만, 자칫 너무 많은 돈을 거주비에 들이는게 아닐까? 어차피 부자여서 비싼 아파트나, 전원주택에 호화롭게 살아도 된다고하면 상관없지만, 돈 없는 30~40대들이 빚까지 얻고 목돈 들여 큰맘먹고 최소 6~7억짜리 서울의 신규 아파트를 구매했다고 생각해보자. 7억짜리 아파트에 산다고해서, 생활수준이 크게 나아지는가?? 개선이 되는가?? 아니면 월급이 오르는가? 사업이 잘 되는가?? 현재시세로 23평대 약 7억정도되는 아파트에 산다면, 평당 3천만원이 된다. 평당 3천만원이면, 나름 이름있는 서울의 아파트일 가능성이 많다. 강남은 말할것도 없이 당연히 훨씬 더 비싸고, 20평대에 7억정도면 분당 판교지역이거나 광명 철산지역정도 될것 같다. 이렇게 서울의 비싼 아파트에 산다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 원래 집에 돈이 좀 있었거나, 기존에 부동산으로 돈을 좀 벌어놓은 사람이라면 모르겠다. 하지만 단순히 한달에 세후 월급 300백 정도 버는 월급쟁이 직장인이 기존 전세보증금이나 3~4억짜리 아파트를 팔고 추가로 3~4억을 대출받아 매수할 경우 말이다. 어떻게되었건, 같은 동네주민으로서 수준을 엊비슷하게 맞춰가야할것이고, 맞춰가려 하다보면 생활비만 더 지출할것 같다.  그냥 혼자산다면 별로 신경쓸게 없겠지만, 아이를 키우는 집이라면 얘기가 많이 달라진다. 엄마들끼리의 커뮤니티가 형성되고, 학원이라도 몇개 같이 보낼려고 하거나 공동과외수업을 받자고도 할수 있다. 입히는 옷가지부터 고급자전거, 인라인 스케이트등 놀이기구는 물론이고 장보는 물가도 더 비쌀것이다. 대한민국에서 남부럽지 않게 살기란 참 힘든 일인것 같다. 결국 비싼 아파트에 사는것은 외적으로보이는 이미지일 뿐이지...실속은 없다. 이렇게 얘기하면 다른 생각을 가지고 따지는 사람들이 꼭 있다. 부자동네에 살아야 부자들과 더 많이 어울릴수 있고, 정보도 ...

[주식투자이야기] 경보제약, 상장시 공모가대비 뻥튀기 2배.....그 이후는??

경보제약 공모가 (경보제약 주가흐름: 월봉차트) 위 차트를 보면 경보제약의 공모가가 궁금해진다. 도대체 공모가가 얼마였길래, 상장한 해당월에 38,500원까지 상승했던주가가 내리막길을 걷다가 3년째 하락 및 횡보를 하게되는 걸까 싶다. 한마디로 얼마나 뻥튀겨 먹였길래? 라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애초에 공모가가 높았던 것일까? 아니면 상장시초가가 높았던 것일까? 물린 사람은 누구고, 팔고 나온 사람은 누구일까? 그럼 이제, 3년전으로 돌아가 공모가를 찾아보도록하자. (최초 정정전 공모가액 13,000원) (정정후 공모가액 15,000원) 고가인 38,500원대비, 공모가는 15,000원으로 높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상한 점이 있다. 왜 공모가를 13,000원으로 지정했다가 2,000원을 올려 15,000원으로 변경했을까? 13,000원의 2,000원이면 약 15%가 넘는데, 결코 작은 숫자는 아닌 것이다. 아무튼, 공모가가 확인되었으니, 위에서 품었던 의문에 일부는 해결된 것 같다. 부동산으로 빗대어 얘기하자면 청약당첨후, 전매가 풀리자마자 프리미엄 2배먹고 나온것이다. 왜?? 공모가 15,000원에 상장 시초가가 30,000원, 최고가 38,500원, 최저가가 28,100원이니 못해도 1달안에 2배는 먹었을꺼라는 것이다. 청약한지 1달도 채 못되어 2배가 넘는 수익율이라면...... 이정도 수익율이면 할만 하지 않은가? 그래서 공모주만 연구하는 사람이 있는지도 모르겠다. 그렇지만, 여기서 추가로 생각해 봐야할 것이 있다. 바로 '보호예수' 이다. 공모주투자만 해도 이렇게 뻥튀기가 되는데, 상장전 장외주식을 들고 있었던 대주주나, 기타임원들의 시세차익은 안봐도 비디오다. 그래서 일반 투자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상장후 작게는 6개월에서 길게는 5년까지 보호예수기간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우리사주조합의 물량도 팔지 못했을것이라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