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금태환인 게시물 표시

닉슨 독트린 (Nixon Doctrine) 과 트럼프식 외교

독트린(Doctrine) 하니까, 뭔가 있어보이긴 하지만 별거 없다. 사전적 의미로, '선언'이라고 해석하면 된다. 쉽게 말해서, 1969년 제37대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된 리처드 닉슨이 어떠어떠한 내용을 대외적으로 선언, 공표했다고 이해할수 있다. 이것에 대한 배경지식이 없다면, 그게 왜?? 뭐 어쩌라고?? 라고 반문할수도 있겠지만, 그렇게 단순 반문하기에는 당시 아주 큰 사안이었고, 지금도 중요하다고 할수 있는 이유가, 현재 미 트럼프행정부가 닉슨의 외교전략을 일부 이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주요 일간지인 워싱턴포스트(WP)는 20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과거 냉전 시대 리처드 닉슨 전 대통령식의 '미치광이 이론'(the Madman Theory)을 외교전략에 활용하고 있다 고 분석하기도 했다.   '미치광이 이론'이란 닉슨 전 대통령이 당시 대립국이었던 북베트남과 소련을 압박하기 위해 구사했던 외교전략이다. 당시 닉슨 대통령은 1969년 유럽과 동아시아, 중동 각지의 미국 주둔군에 핵전쟁 경계령을 내리면서 본인이 다혈질에다 언제든 핵전쟁을 일으킬 수 있는 인물이라는 인식이 퍼지도록 했다. WP는 트럼프 역시 '통제불능과 예측불가'라는 자신의 캐릭터를 충분히 활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하나의 중국' 정책에 대한 의문 제기와 적극적 친러시아 행보 등은 파격적인 외교행보 역시 이같은 전략과 일맥상통한다는 것이다.  기사발췌 "트럼프 외교의 미덕은 불확실성" …국제질서 강력 변수로 주목 https://www.ajunews.com/view/20161221083717834  위키피디아에서 가져온 닉슨 독트린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내용1 미국은 앞으로  베트남 전쟁 과 같은 군사적 개입을 피한다. 미국은 아시아 제국(諸國, 여러 나라들)과의 조약상 약속을 지키지만,  강대국 의  핵무기 에 의한...

브레튼우즈체제(Bretton Woods System)

평소 경제나, 역사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었다면, 한번쯤은 들어본 말일 것이다. '브레튼우즈체제' 라는 단어 말이다. 엄밀히 말해서 '브레튼우즈(Bretton Woods)'는 지명이름이니까 대명사이다. 브레튼우즈는 미국 뉴헴프셔주에있는 스키휴양지인데, 세계 제2차대전이 끝나기 직전인 1944년 7월 1일, 그 스키휴양지에 있는 허름한 마운트 워싱턴 호텔에서, 44개 미 동맹국들과 식민지에서 온 730여명의 대표단이 모여 앞으로의 세계경제에 대한 중요한 회의를 하게 된다. 제2차 세계대전에 대한 승패는 거의 정해진 상태였고, 뒤늦게 뛰어들었지만, 전쟁을 승리로 이끈 미국의 분부만을 노심초사 기다리고 있었다. 제2차 세계대전전까지만 해도, 세계는 말 그대로 힘의 시대였다. 이긴자인 승자가 모든 것을 갖는, 패전국은 식민지가 되고, 막대한 전쟁보상금을 지불해야했다. 승전국이 요구하는 것은 무엇이든 들어줬어야 했기 때문에, 모두들 미국이 이 브레튼우즈 회의에서 과연......어떤 말을 꺼낼지 숨죽이고 있었던 것이다. 유럽이나 아시아, 아프리카.... 도대체 어느 나라가 제일 먼저 미국의 식민지가 될것인가? 어느나라를 식량 생산기지로 삼고, 어느나라를 공장지대로 삼고, 어느나라를 어느나라를 군사기지, 물류기지, 또는 어떠한 시장으로 만들까? 미국이 어느선까지 욕심을 부릴것인가.....모두들 고심에 빠져있는 찰나인 그때, 미국 대표단이 말을 꺼낸다. "험험...그러니까, 여러분들 그동안 정말 고생 많이 하셨습니다. 앞으로는 서로 물고 뜯기는 싸움하지 말고, 경제개발을 하십쇼. 열심히 물건을 만들어서 저희 미국에게 수출을 하시면 됩니다.  전쟁으로 폐해가 되어서 못하겠다고요?? 그런 국가들에게는 우리 미국이 자립하실때까지 원조해 주겠습니다. 속이 시꺼먼....이웃나라들때문에, 불안해서 안되겠다고요?? 국방비에 돈 쏟지 마세요.  그렇게 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