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아마존인 게시물 표시

아마존의 공중 물류창고, 이거 정말 현실이냐??

美 유통 장악한 아마존, 이젠 하늘과 우주 노린다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19051917841 아마존의 다음 목표는 하늘과 우주다. 드론 배송은 이미 현실화했다. 2016년 영국 케임브리지에 거주하는 소비자에게 드론으로 상품을 배송했다. ‘공중 물류창고’ 특허도 취득했다. 물품이 담긴 창고를 하늘에 띄워 놓고 주문이 접수되면 드론으로 상품을 배송하는 방식이다 . 아마존의 공중물류창고라고 한다.  어떻게 이런 생각을 해냈을까? 상상으로 생각을 해내더라도, 그것을 구체화해서 설계를 만들고 특허까지 받았다는 것은 대단한 일이다.  처음 이 기사를 읽었을때 생각나는 것은 일본만화 원피스의 '하늘섬'과  영화 '엘리시움' 이었다.  도대체 이것이 가능한 일일까? 하늘 한 가운데, 물류창고라....발상이 기발하다.  물류하는 친구에게 물어보니,  네이버에서 아래 블로그를 찾아서 링크를 보내줬다.  아마존 공중물류센터 특허취득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6380654&memberNo=15525599 AFC (Airborne Fulfillment Center) 항공 운송 서비스 센터이다.  대도시 상공 약4만 5천 피트 높은 고도에서 이용자 예상 주문 품목을 보유하고 있다가, 주문 결제가 이뤄지면 드론으로 배송이 가는 것이다.  기구는 헬륨같이 공기보다 가벼운 가스가 들어가 있고, 기구에서 떠난 드론은 수평으로 배송위치를 탐색 하기 때문에 전력을 거의 안쓴다고 한다.  즉 공기의 저항을 최소한으로 받으면서 바람을 타고 수평으로 이동하다가, 배달장소가 되면, 수직으로 떨어뜨린다는 것 아닌가? 위 도면사진의 왼쪽부분을 자세히 보면 알수 있다.  단, 드론의 전력은 거의 쓰지 않는다...

아마존 해킹은 점점 불가능해지고 있다. 펜타곤 프로젝트!

(실수로...글을 지워버려서, 다시 적는다.ㅠ) 예전에, 주변사람들에게 이런 얘기를 한적이 있다. 내가 컴퓨터 실력은 되고, 글로벌 IT기업이 취직을 하고 싶은데 방법이 없다. 그러면, 아마존이나, MS, 구글 같은 회사를 해킹해라. 단번에 바로 채용이다.  해킹에 대한 소송이 아니라, Congraturation!! 하면서 채용메일이 날라오거나, 컨설팅 문의가 올지 모른다.  즉, 그만큼 그들이 그들의 보안시스템에 대해서 자신이 있다는 소리다. 펜타곤은 미국방부, 합참, 육-해-공군본부가 함께 있는 곳으로, 전세계적으로 보안이 철통같기로 유명하다. 보안이 철통같은 이유는, 그만큼 기밀문서를 많이 다룬다는 것이다. 그런데, 그들이 자체 데이터센터를 구축하지 않고, 그것도 민간사업자의 클라우드 솔루션을 사용하겠다고?? 단순히 생각하면 믿기지가 않는다. 지금까지의 보안시스템, 패치업그레이드를 해야만 보안시스템에 문제가 없고, 그 보안코드, 보안패치는 짧게는 하루에서 한달, 길게는 몇달에서 1년이 걸리기도 한다. 그런데, 클라우드 업체의 보안프로그램상의 패치와 코드는 1초에 한번씩 바뀐다고 한다. 더욱 강력해진 것이다. 이번 펜타곤 프로젝트가, 11조원 이상의 빅딜이고, 한번 선택받아 구축하면 향후 10년동안 펜타곤은 그 업체 클라우드 솔루션을 사용해야 한다. 만약 펜타곤이 아마존이나, 구글 또는 MS중에 하나를 선택한다면, 그 회사 주식을 사야할 것이다. 왜냐면, 빠르게 발전하는 기술진보에 따라, 10년후가 보이지 않는데, 세계 패권국인 미국이 10년이상을 보장하는 딜이라면? 최소 10년동안은 망하지 않는 것으로 보는 것이다. 어떻게 보면, On-premise로 자체 구축하는 것보다, 민간 IT대기업의 데이터센터를 사용하는 것이 오히려 더 안전할수도 있을 것 같다. 그리고 요즘은 스토리지기술이 발달해서, 데이터도 조각내서 분산보관하는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