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인플레인 게시물 표시

경제는 좋지 않지만, 무조건 자산을 사라.

경제는 좋지 않지만, 무조건 자산을 사라. 왜? 앞으로 큰 인플레가 올것 같다.  왜?? 정부가 돈을 많이 풀고 있기 때문이다.  어떻게??? 국민들 세금을 많이 걷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반기업 정서를 이용하여, 기업들 세금도 많이 걷고 있다.  이미....조금 늦은 것 같지만, 그래도 아직 시간은 있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고 본다.  자산가치가 될만한 것들을 사자. 사업하시던 몇몇 똑똑한 분들은, 일찌감치 접고, 서울의 아파트를 사두었다고 한다.   (서울 아파트 가격상승이, 몇년동안 힘들게 번돈보다 몇배는 더 크다.) 하지만, 실물 경제는 어렵다. 요즘 자꾸 상가들이 폐업하고, '임대문의' 현수막이 보이는 것 같아서...... 왠지 모르게 불안하다.  이명박, 박근혜때와는 비교도 되지 않을 정도로...... 밑빠진 독에 물을 많이 붓고 있다.  정부가 돈을 많이 쓰면 쓸수록, 경기는 좋지 않지만, 결과적으로 GDP규모는 올라간다.  Y(GDP) = C(가계소비) + I(기업투자) + G(정부지출) + X-M(순수출) 잠시 위 GDP 공식을 보자. 가계소비는 줄어들것 같다. 하지만, 정부지출은 엄청나게 올라간다.  그리고 기업투자부분에서는....삼성이 180조 푼다고 했다. 돈이 많이 풀리면, 돈 가치는 떨어지고 물가는 올라간다.  급상승하고 있는 최저임금 보전 차원으로, 정부가 사용하는 보조금도 늘어나고, 억지로 일자리 만드는 공무원 자리나, 준공무원들을 만들어 낼수록 민간 일자리는 줄어들게 되지만 인플레는 증가한다. 점차 부의 양극화는 벌어진다.  지방과 서울, 수도권과의 격차도 벌어진다.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