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주식투자이야기] 거래도 없는 품목에 관세를??? China and the U.S. Impose Tariffs on Trade Flows That Don’t Exist


이틀전인가....블룸버그에 위와 같은 기사가 떴다.

Tariffs 는 관세라는 뜻인데,

Don't Exist 라는 표현이 표제이다.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해서 관세를 부과한다?

이게 무슨 말일까 싶어서 기사를 열어보게 되었다.



영어를 잘 못해서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다.
하지만, 뭔가 무역거래가 없는 것들에 대해서도 관세부과 항목(리스트)에 추가시켰다는 것은 알수 있다.

중국이 가스 파이프라인과 LNG를 미국에 수출했다고?
라디오 카세트를 수출했다고?
미국이 중국에서 전기에너지를 수입했다고?

뭔가 좀 어색하다.

심지어는

Live Trout (생 송어)를 수입?에 대한 관세부과항목에 들어가 있으니 웃을 일이다.

2000억 달러 관세부과대상 중에 포함되어 있는 항목으로는 적절하지 않다.

내가 봤을때는,

"
야, 중국, 까불지말고.....알아서 기어라

지금 무릎꿇고 들어오면, 내가 이정도에서 봐줄수도 있으니깐 말이지.
"


정확하게 관세부과 항목들을 하나하나 까보진 않았지만,
정말 위와 같은 항목들이 들어가 있고, 주요 민감한 품목외에 대부분이 위와 같은 품목들로 구성되어 있다면,

이건 그냥 경고인것 같은데,
중국도 이미 알고 있을 것이다. 무역전쟁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면 자신들이 절대적으로 불리하다는 사실을 말이다.

그런데, 중화사상을 가진 중국이....존심이 있는데 그렇게 쉽게 '항복'하고 싶지는 않을 것이다.

중국이 무역거래로서는 콩 같은 것 말고는 미국에 관세를 부과할 거리가...거의 없을테고,
비관세장벽이라고 하는 방법중에 중국에 진출한 미국 기업들을 괴롭히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마치 대한민국이 사드 설치한다니까,
중국 진출한 한국 기업들 영업정지 먹이고,
자국민의 한국 관광 및 출국금지,
그리고 공산당이 주체가 되어 중국거주 한국인들을 협박하고 폭행하는 등의
여론몰이 분위기 조성을 한것처럼 말이다.

그런데, 이것이 미국에도 과연 통할까??

자기네들이 세계의 중심이라는 중화사상을 가진...중국.
과연 어떤 식으로 대응할까??


이틀뒤인 7/13일 아래와 같은 뉴스가 나왔다.



We are not in a Trade War

Steven Mnuchin이라는 재무장관이 한 말이다. 

우리나라 언론을 통해서 들려오는 전반적인 사항을 고려해 보면,
분명 무역전쟁중인데, 무역전쟁중이 아니라니??

외국사이트를 보면 위와같이,
미국이 거래가 없는 품목에 관세를 부여한다거나,
무역분쟁중이 아니라는 언급도 나오는데, 한국 미디어에서는 제대로 찾아볼수 없는 내용이다. 

미 재무장관이 한 발언이라면 이렇게 추측해 볼수도 있다.

트럼프는 앞에서 강하게 때리고,
실무자들은 뒤에서 협상의 여지를 남겨두는 방식인 것이다.

물론 이것은 모두 의도된 트럼프 행정부의 전략이다.

중국이 어떻게 반응하느냐에 따라 얼마든지,
언제 우리가 무역전쟁을 했었냐는듯이 언론을 통해 얘기가 나올수도 있을 것 같다.


시진핑도...고민이 클것이다. 

개헌까지 하면서 장기집권 발판을 다 마련해 놨는데,

여기서 한번 주도권을 빼앗기기 시작하면, 
미국에 휘둘리게 될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왠지 애꿋은 한국이나 인접 동남아시아 국가에다가 화풀이나 하지 않을까 걱정이 든다.


그럼, 우린 어떻게 해야하는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연히 미국편에 붙어야 한다. 
중국에 대놓고 행동하진 못하더라도 미국편에 붙어야 한다. 

중국은 언제든지 우리를 깔아뭉겔수 있는 국가다. 
기회가 되면, 중국령에 편입시킬수도 있는 국가다. 

하지만 미국은 그렇지 않지 않은가?

약소국이라....여기저기 눈치를 봐야하는 입장이고 서글프긴하지만,

확실히 더 센 놈한테 붙어야 살아남을 수 있다. 

관련 주식은 쳐다만 보고 사지는 말자.

분위기상 주가는 떨어지더라도
펀더멘탈에,
실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주식위주로 떨어질때마다 기회로 삼아봄이 어떨까??


당장 내일이라도, 
헤드라인 기사에 '미-중 무역분쟁 없던 일로....' 라고 뜨면서 정치적 이벤트로만 끝날수도 있다. 

앞날을 누가 정확하게 예측할수 있으리랴.

우리는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하고, 타격이 없는 우량주식을 위주로 연구하고 매집하자.

그게 조금이라도 더 부자에 가까워지는 길이 아닐까......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주식투자이야기] 폴루스홀딩스, 폴루스바이오팜을 통한 우회상장 (제2의 매직마이크로가 된것인가??)

폴루스라는 제약회사가, 경기도 화성에 공장을 짓는다는 소식을 듣고, 인건비가 인도나, 중국, 그리고 제3세계 나라들보다 더 비싼 대한민국에 왜?? 라는 궁금증이 발동했고, 어떤 회사인지 궁금하여 관련 기사를 먼저 찾아보게 되었다. 네이버 검색대에 나온 신문기사를 1번과 2번으로 나누어 보았다. 1번에서 알수 있는 사실이 '폴루스바이오팜'이 있고, '폴루스'가 있다. 2번은 폴루스는 2년전 창업 셀트리온 출신 핵심 인력이 창업한 회사가 '폴루스'라는 것을 알수 있고, '글로벌 바이오 복제약 시장에...' 까지만 나와있다. 1번 기사들을 보고 드는 느낌은 아~~~폴루스는 '지주회사'이고,  폴루스바이오팜은 폴루스의 자회사 인데, 어떠한 사유로인해서 합병을 하는구나?? 라고 단순히 생각이 든다.  그리고 2번에서 '셀트리온'이라는 단어가 눈에 띄면서, 뭔가 이와 연관된 회사라면 '대박'?? 이정도까지 간단하게 추측해 보고 넘어가보자. 폴루스나 폴루스바이오팜이 상장회사 주식이라면 더 자세한 정보를 찾아볼수 있겠다 싶었다. 참, 여기에서 첫번째 궁금증은 어느정도 해소가 되었다. 단순히 많은 기술적인 사항이 들어가지 않는 저가의 API와 같은 공장은 인도나, 중국등지에 설립하는것이 좋을수 있겠지만, 핵심 연구인력이 상주해야한다면 당연히 본사지역이나 본사와 가까운 주요도시거점에 공장을 설립하는게 맞을 것 같다. 이잉?? 맨 아래 빨간색으로 표시한 네모박스를 먼저보자. 바이오팜이라고 해서 제약회사인줄 알았는데, 매출구성이 이게 모냐? 97%이상이 통신장비 매출이고, 나머지 약3%가 용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칸 네모박스 위를 보면, 2018년 1월 26일에 사명을 지금과 같이 바꿨고, 맨 위의 네모박스를 보면, 최대주주가 바로 '폴루스홀딩스'라는 것을 알수 있다. 과연 폴루스가 지배주주 일꺼라는...

[부동산투자이야기] 비싼 아파트를 사면, 돈을 깔고 앉는 것일까??

평소에 이런 생각을 많이 했다. 비싼 아파트를 사고나면, 그만큼의 쾌적한 거주환경에서 생활할수는 있겠지만, 자칫 너무 많은 돈을 거주비에 들이는게 아닐까? 어차피 부자여서 비싼 아파트나, 전원주택에 호화롭게 살아도 된다고하면 상관없지만, 돈 없는 30~40대들이 빚까지 얻고 목돈 들여 큰맘먹고 최소 6~7억짜리 서울의 신규 아파트를 구매했다고 생각해보자. 7억짜리 아파트에 산다고해서, 생활수준이 크게 나아지는가?? 개선이 되는가?? 아니면 월급이 오르는가? 사업이 잘 되는가?? 현재시세로 23평대 약 7억정도되는 아파트에 산다면, 평당 3천만원이 된다. 평당 3천만원이면, 나름 이름있는 서울의 아파트일 가능성이 많다. 강남은 말할것도 없이 당연히 훨씬 더 비싸고, 20평대에 7억정도면 분당 판교지역이거나 광명 철산지역정도 될것 같다. 이렇게 서울의 비싼 아파트에 산다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 원래 집에 돈이 좀 있었거나, 기존에 부동산으로 돈을 좀 벌어놓은 사람이라면 모르겠다. 하지만 단순히 한달에 세후 월급 300백 정도 버는 월급쟁이 직장인이 기존 전세보증금이나 3~4억짜리 아파트를 팔고 추가로 3~4억을 대출받아 매수할 경우 말이다. 어떻게되었건, 같은 동네주민으로서 수준을 엊비슷하게 맞춰가야할것이고, 맞춰가려 하다보면 생활비만 더 지출할것 같다.  그냥 혼자산다면 별로 신경쓸게 없겠지만, 아이를 키우는 집이라면 얘기가 많이 달라진다. 엄마들끼리의 커뮤니티가 형성되고, 학원이라도 몇개 같이 보낼려고 하거나 공동과외수업을 받자고도 할수 있다. 입히는 옷가지부터 고급자전거, 인라인 스케이트등 놀이기구는 물론이고 장보는 물가도 더 비쌀것이다. 대한민국에서 남부럽지 않게 살기란 참 힘든 일인것 같다. 결국 비싼 아파트에 사는것은 외적으로보이는 이미지일 뿐이지...실속은 없다. 이렇게 얘기하면 다른 생각을 가지고 따지는 사람들이 꼭 있다. 부자동네에 살아야 부자들과 더 많이 어울릴수 있고, 정보도 ...

[주식투자이야기] 경보제약, 상장시 공모가대비 뻥튀기 2배.....그 이후는??

경보제약 공모가 (경보제약 주가흐름: 월봉차트) 위 차트를 보면 경보제약의 공모가가 궁금해진다. 도대체 공모가가 얼마였길래, 상장한 해당월에 38,500원까지 상승했던주가가 내리막길을 걷다가 3년째 하락 및 횡보를 하게되는 걸까 싶다. 한마디로 얼마나 뻥튀겨 먹였길래? 라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애초에 공모가가 높았던 것일까? 아니면 상장시초가가 높았던 것일까? 물린 사람은 누구고, 팔고 나온 사람은 누구일까? 그럼 이제, 3년전으로 돌아가 공모가를 찾아보도록하자. (최초 정정전 공모가액 13,000원) (정정후 공모가액 15,000원) 고가인 38,500원대비, 공모가는 15,000원으로 높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상한 점이 있다. 왜 공모가를 13,000원으로 지정했다가 2,000원을 올려 15,000원으로 변경했을까? 13,000원의 2,000원이면 약 15%가 넘는데, 결코 작은 숫자는 아닌 것이다. 아무튼, 공모가가 확인되었으니, 위에서 품었던 의문에 일부는 해결된 것 같다. 부동산으로 빗대어 얘기하자면 청약당첨후, 전매가 풀리자마자 프리미엄 2배먹고 나온것이다. 왜?? 공모가 15,000원에 상장 시초가가 30,000원, 최고가 38,500원, 최저가가 28,100원이니 못해도 1달안에 2배는 먹었을꺼라는 것이다. 청약한지 1달도 채 못되어 2배가 넘는 수익율이라면...... 이정도 수익율이면 할만 하지 않은가? 그래서 공모주만 연구하는 사람이 있는지도 모르겠다. 그렇지만, 여기서 추가로 생각해 봐야할 것이 있다. 바로 '보호예수' 이다. 공모주투자만 해도 이렇게 뻥튀기가 되는데, 상장전 장외주식을 들고 있었던 대주주나, 기타임원들의 시세차익은 안봐도 비디오다. 그래서 일반 투자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상장후 작게는 6개월에서 길게는 5년까지 보호예수기간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우리사주조합의 물량도 팔지 못했을것이라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