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문제는 없을까??
-다운로드 제한, 랜섬웨어인가??
-클라우드속에 모든 빅데이터가??
-중간 서버, 네트워크 판매상들 위기
-오히려 스토리지 업체가 좋아지는 것 아닐까??
-기존 타 IT벤더사들의 위치는??
-구글 클라우드, MS의 Azure(애저), Naver의 NCP(Naver Cloud Platform), SK의 CloudZ
경쟁구도가 어느정도 의미가 있을까?
-국내 업체들의 위치는??
-IDC센터가 생길곳을 찾아라.
(IT가 필요로 하는 부동산)
-개인정보 보호 문제
위에서 소제목? 목차로 쓸만한 주요 이슈들을 생각이 이끄는대로 먼저 나열해 보았다.
사실 저렇게 떠오른 아이디어를 휙~~키보드로 휘갈겨쓴 이후로 귀차니즘으로 1주일만에야 다시 글을 올리게 되었다.
4차산업혁명이라는 컨셉을 대전제로,
클라우드는 '혁명'이라는 수식어까지 붙어지며 언론의 여기저기에서 다뤄졌다.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보안, 소프트웨어까지 구입해서 구축할 필요없이 클라우드를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면되는 시스템.
초기 자본투자가 없으니 그만큼 리스크 비용이 떨어지고 벤처사업가 뿐만 아니라 기존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대기업들에게도 사업확장시에 요긴하게 이용될 수 있는 클라우드.
그것이 대세일 것임을 어느 누군가가 나서서 부정할수 있을까??
예전부터 그랬고 앞으로도 그럴것이듯
오히려 많은 사람들은....그것이 무엇인지도 모르고 있을뿐만 아니라, 알고 싶어 하지도 않는다.
다만 그러한 세상이 왔을때,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기만 하면 된다.
괜히 귀찮게 뭐가 문제가 되고....무엇이 좋은 것인지 미리 생각할 필요가 없을지도 모른다.
나도 편리하다는 클라우드의 논리에 당연히 대세가 될것이라 생각했고, 그리 의심하지 않았다.
다만 한번에 바뀌지는 못하고 기업의 경우에는 중요하지 않은 서비스 부분만 클라우드를 도입하게 되면 약 50프로 정도? 가 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었다.
그런데 어느날 문득,
우리가 클라우드를 도입하면 할수록 문제가 되는 건 없을까? 생각이 들었다. 지금은 초창기이고 분위기적인게 있으니 클라우드로 갈수밖에 없다는 생각이 지배적인데, 그 어느 시스템이건 약점은 있을 것이다.
첫번째, 구글 이메일을 사용하던 나는, 용량 사용에 제한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메일함을 늘리기 위해서는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네이버나 한메일(daum)로 처음 이메일을 접했기 때문인지, 뭔가 괘씸했고 돈을 내야한다는 것 자체로 짜증이 났다. 왜냐하면 기존 국내 서비스는 무료였기 때문이었다. 나보다 먼저 구글메일을 쓴 사람은 이렇게도 말했다. 구글은 빅데이터를 모으기 위한 일환으로 초기에 이메일 삭제기능도 없었다는 것.
아무튼 이런일이 있고 나서, 구글메일은 잘 쓰고 있지 않았는데, 구글 클라우드는 자료 업로드는 거의 공짜와 다름없을정도로 많이 싸지만 나중에 업로드를 많이 한 사람일수록 자료를 빼내기가 어렵다는 것이었다.
자료를 다시 읽어내거나 다운로드를 할때 드는 비용이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그런데 최근 이러한 짓거리(?)를 아마존도 한다는 얘기가 들려왔다. 그래서 국내 모기업이 갑작스럽게 값싼 서버를 이용해서 데이터센터를 짓고 있다는 것이었다. 아마존 AWS 클라우드에 넣어두었던 자료들을 데이터가 더 쌓이기전에 지금이라도 빼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건 뭐지....?
마치....해커들이 개인 및 기업데이터에 접근해서 암호를 걸어두고 데이터를 찾고싶으면 돈을 내라는 랜섬웨어와 비슷하게 들리지 않는가??
모든 자료들을 클라우드를 이용한다면 고용량의 플래시 하드디스크를 가지고 다니거나 보유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지만, 클라우드에 업로드하는순간 그 다료의 소유권은 누구에게 있는지 다시한번 곰곰이 생각해볼 문제인것 같다.
두번째로 클라우드 이용자 이용기업이 많아질수록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등을 판매하는 중간 유통업체들의 수익이 안 좋아진다.
처음이야, 기술 엔지니어를 보유하고 있는 SI, NI업체가 컨설팅 명목으로 대행판매를 해줄수는 있다. 하지만 대행판매를 잘 할수록 중간 업체들의 입지는 쫍아지는 것이다.
아마존 구글 MS같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중간 판매상을 통해서 구축해줄수는 있으나, 당연히 중간 마진이 붙게 되니, 시장 확장을 위해서 초창기에만 그들의 영업권을 이용해 먹고 나중에는 그냥 배제해버리면 된다.
중간 마진을 먹어도 중간업체들이 들고가야하는 리스크가 있는데, 중간업체들이 설계를 잘못해 버린다면 어떻게 될까??
고객에게는 월 10만원씩만 납입하면 된다고 했는데 설계미스로 중간업체가 클라우드 업체에 청구받는 계산서도 10만원이거나 10만원이 넘어버릴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간업체의 설계능력이 그만큼 따라가지 못한다.
최근에야 모든 기술이 융합되는 분위기지만 3~4년전만해도 엔지니어도 네트워크면 네트워크 서버면 서버 스토리지면 스토리지..이렇게 각각의 전문분야만 잘 아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중간업체는 그렇다치고, 벤더사는 그럼 왜 안좋아지는가??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고객수가 현격히 줄어들기 때문이다. 지금에야 현지 파트너사들 줄세워놓고 공공(public), 엔터프라이즈, 커머셜, SMB시장을 각각의 Segment세그먼트로 나눠 진출했는데....클라우드 시장이 커지면, 고객사에 직접 납품하는 물량은 줄어들고, 대부분을 클라우드회사 데이터센터에 납품하게 될꺼니까 말이다. 그때가 되면 AWS나 구글...같은 회사들이 좀 더 갑의 자세가 되지 않을까? 싶다.
이러한 시장의 흐름을...시스코나 HP, 익스트림...등과 같은 곳에서 어떻게 대응해 나갈까 지켜봐야 겠다.
하지만 EMC(델에 인수됨)나 NetApp과 같은 스토리지 회사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클라우드 환경에서 데이터가 계속해서 실시간으로 핸드폰이나 사물인터넷기기로 부터 전송되고, 그 데이터 용량과 스피드를 커버하기 위해서, 좋은 스토리지를 써야하기 때문에 오히려 좋아질꺼라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데이터 손실을 방지 하기 위해서 미러링이나, 백업이라는 문제때문에도 스토리지 디스크는 어떻게든 수요를 맞춰 나갈것으로 본다.(단지 비 전문가인 내 생각임)
그 다음으로, 국내기업중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대로 할수 있을꺼라 생각되는 곳은
그나마 Naver가 있다. 네이버는 NCP라는 이름으로 공격적으로 영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기술적으로는 아직 아마존이나 구글등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도 Naver는 국내 및 해외에 다수의 IDC센터를 보유하고 있고, 역량이 뛰어난 우수 개발자들을 많이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성은 있다고 본다.
Naver말고는 국내에서 SK C&C같은 곳에서 IBM클라우드를 가지고와 국내실정에 맞게 조금 변경해서 파는것....그 정도 인것 같다. 한마디로 자체 기술이 없다는 것이다.
얼마전까지 클라우드 세상이 되면 통신사들이 좋아지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잠시 했다.
핸드폰, 스마트TV로 받고 있는 통신사 인터넷서비스를 사물인터넷기기와, 스마트자동차한테까지 적용한다면 1가구가 사용해야하는 통신비는 어마어마하게 커질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좋아진다 하더라도 마진은 얼마 되지 않을 것 같다. 원천기술이 다 해외것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부동산과 잠깐 연계해 보고 마치고자 한다.
요즘 인터넷, 전자상거래 때문에 상가투자도 위험하고, 공시지가를 올려서 보유세등의 문제 때문에 주택이나 토지 매수도 점점 힘들어져 가는 분위기인것 같다.
이럴때, 국내나, 외국 대기업이 IDC데이터 센터 설립을 위한 부지로 쓸만 한 곳을 투자해 보면 어떨까??
몇년전에 소프트뱅크 손정의 회장이 일본지진 및 기타의 이유로 데이터센터를 부산 끄트머리쪽인가 김해에 설립했다는 신문기사를 잠깐 본적이 있는데......
데이터센터는 열이 많이 발생하니, 쉽게 식혀줄수 있는 항구와 가깝고 넓은 부지......사람들이 잘 다니지 않고 버려진것 처럼 보이는 택지....이런곳이 좀 가능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생각을 해본다.
다가오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대,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할까?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