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SW서비스 회사로 나아가려는 IT공룡들과 AI에 대한 생각

하드웨어의 표준화 -> 기술 평준화

클라우드화 -> HW장비 설치가 점차 필요없어짐

재고관리의 어려움
-> 세계경기에 따라 서플라이 체인을 유지하기 어려움. 
-> 미중 무역분쟁으로 중국생산공장의 이동등
-> 무엇인가를 제조하게 되면, 경기순환을 필연적으로 겪을수 밖에 없음


반면 소프트웨어는??

한번 만들어 놓으면, 팔릴때마다 거의 100% 이익이 난다. 
중간중간에 패치업데이트 정도만 해주고,
정기적으로 버전업그레이드만 해줘도 큰 무리가 없다. 

그런데, 처음에 대박나는 솔루션 개발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지난 30여년간 HW(하드웨어)가 100배정도 기술발전이 이루어졌다면,
SW(소프트웨어)는 10,000배 성장했다고 한다. 

그리고 SW(소프트웨어)의 성장 잠재력은 앞으로도 더욱 무궁무진하다. 

SW의 발전에 따라, 하드웨어가 발전하게 된다. 

우리가 알고 있던, HW중심의 IT회사들이 점차 SW중심의 회사로 변해가고 있다. 

그 중에서 이미 IBM은 SW적으로 많이 변모했고,
HW B2B벤더로 알고 있는 Cisco, HP와 같은 회사들도 SW쪽으로 사업을 드라이브 하고 있다. 

그와 동시에 필연적으로 많은 정리해고가 있었고,
앞으로도 그럴 예정으로 보인다. 

IT회사는 아니었지만, GE와 같은 제조회사도 비행기 엔진터빈분석과 같은, 
SW 중심회사로 변모해가고 있다. 


모르긴 몰라도, 
향후 수없이 많은 SW회사가 등장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맨 앞줄에서 얘기했듯이, 하드웨어는 점점 표준화 되어가고 있지만,
소프트웨어는 비정형화 되어 있고, 비즈니스나 사용자마다의 취향과 욕구를 모두 커스터마이징해서 반영해야하기 때문에 그 수요는 크게 넘칠것으로 본다. 

그리고 그 SW적인 수요는 AI가 뒷받침해주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코딩이나 SW제작이 어려운 부분을 AI가 많이 보완해 주지 않을까??

M&A시장을 예로들자면, 
먼저 하드웨어와 같은 제조사들을 통폐합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게 되고,
그다음엔 SW 회사들을 인수하려는 업계의 바람이 불지 않을까 예상해 본다. 

상대적으로 이익은 많이 발생한다고 해도, 볼륨(금액크기)이 작기 때문에
SW회사를 인수하는 움직임은 많이 관찰하기 어려울수도 있으나,
그게 대세가 될것이다. 

IBM의 레드햇과 같이 오픈소스시장을 계속 키울수록,
그리고 오프라인 서적이 점차 전자책화 될수록,
쌓여가는 데이타를 모두 클라우드화된 스토리지에 정규화하여 저장해 놓을수록
AI는 공부할게 많아지고 똑똑해진다. 

이세돌과 알파고가 바둑경기를 펼칠때, 
알파고의 CPU가 1초에 1000가지가 넘는 경우의 수를 계산했다고 하니,
개인이 이런 AI하나 가지고 있으면 어떻게 될까?

내가 원하는 커스터마이징된 앱하나 만들기는 식은죽 먹기가 되지 않을까??

앞으로 우리는 조금 더 창의적인 일
감성적이고, 인간의 욕망을 읽을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 생각하고 대응해 나가야 하지 않을까??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대비란 있을수 없다고 생각한다. 
어떻게든 개인적인 차원에서의 어떤식으로든 대비가 필요하다고 본다. 

아래 유튜브를 보니, 그 생각이 더욱 강하게 든다. 

2016년 AI에게 완패한 인간..그리고 3년동안 벌어진 놀랍고 슬픈 일들..
https://youtu.be/j0ImKGMa8Ho

그런데, 그런게 정말 무엇이 있을까? 의문이다. 




참고기사
"IBM의 미래는 소프트웨어와 서비스가 이끌 것"
http://www.bloter.net/archives/345

레드햇을 산 IBM, 기존 SW를 팔기 시작했다
https://byline.network/2018/12/8-27/


시스코가 소프트웨어 기업을 지향한다고? 어쩌면 진실은...
http://www.ciokorea.com/news/30969


'SW와 분석 중심 기업으로' GE의 디지털 변혁
http://www.ciokorea.com/news/30205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주식투자이야기] 폴루스홀딩스, 폴루스바이오팜을 통한 우회상장 (제2의 매직마이크로가 된것인가??)

폴루스라는 제약회사가, 경기도 화성에 공장을 짓는다는 소식을 듣고, 인건비가 인도나, 중국, 그리고 제3세계 나라들보다 더 비싼 대한민국에 왜?? 라는 궁금증이 발동했고, 어떤 회사인지 궁금하여 관련 기사를 먼저 찾아보게 되었다. 네이버 검색대에 나온 신문기사를 1번과 2번으로 나누어 보았다. 1번에서 알수 있는 사실이 '폴루스바이오팜'이 있고, '폴루스'가 있다. 2번은 폴루스는 2년전 창업 셀트리온 출신 핵심 인력이 창업한 회사가 '폴루스'라는 것을 알수 있고, '글로벌 바이오 복제약 시장에...' 까지만 나와있다. 1번 기사들을 보고 드는 느낌은 아~~~폴루스는 '지주회사'이고,  폴루스바이오팜은 폴루스의 자회사 인데, 어떠한 사유로인해서 합병을 하는구나?? 라고 단순히 생각이 든다.  그리고 2번에서 '셀트리온'이라는 단어가 눈에 띄면서, 뭔가 이와 연관된 회사라면 '대박'?? 이정도까지 간단하게 추측해 보고 넘어가보자. 폴루스나 폴루스바이오팜이 상장회사 주식이라면 더 자세한 정보를 찾아볼수 있겠다 싶었다. 참, 여기에서 첫번째 궁금증은 어느정도 해소가 되었다. 단순히 많은 기술적인 사항이 들어가지 않는 저가의 API와 같은 공장은 인도나, 중국등지에 설립하는것이 좋을수 있겠지만, 핵심 연구인력이 상주해야한다면 당연히 본사지역이나 본사와 가까운 주요도시거점에 공장을 설립하는게 맞을 것 같다. 이잉?? 맨 아래 빨간색으로 표시한 네모박스를 먼저보자. 바이오팜이라고 해서 제약회사인줄 알았는데, 매출구성이 이게 모냐? 97%이상이 통신장비 매출이고, 나머지 약3%가 용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칸 네모박스 위를 보면, 2018년 1월 26일에 사명을 지금과 같이 바꿨고, 맨 위의 네모박스를 보면, 최대주주가 바로 '폴루스홀딩스'라는 것을 알수 있다. 과연 폴루스가 지배주주 일꺼라는...

[부동산투자이야기] 비싼 아파트를 사면, 돈을 깔고 앉는 것일까??

평소에 이런 생각을 많이 했다. 비싼 아파트를 사고나면, 그만큼의 쾌적한 거주환경에서 생활할수는 있겠지만, 자칫 너무 많은 돈을 거주비에 들이는게 아닐까? 어차피 부자여서 비싼 아파트나, 전원주택에 호화롭게 살아도 된다고하면 상관없지만, 돈 없는 30~40대들이 빚까지 얻고 목돈 들여 큰맘먹고 최소 6~7억짜리 서울의 신규 아파트를 구매했다고 생각해보자. 7억짜리 아파트에 산다고해서, 생활수준이 크게 나아지는가?? 개선이 되는가?? 아니면 월급이 오르는가? 사업이 잘 되는가?? 현재시세로 23평대 약 7억정도되는 아파트에 산다면, 평당 3천만원이 된다. 평당 3천만원이면, 나름 이름있는 서울의 아파트일 가능성이 많다. 강남은 말할것도 없이 당연히 훨씬 더 비싸고, 20평대에 7억정도면 분당 판교지역이거나 광명 철산지역정도 될것 같다. 이렇게 서울의 비싼 아파트에 산다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 원래 집에 돈이 좀 있었거나, 기존에 부동산으로 돈을 좀 벌어놓은 사람이라면 모르겠다. 하지만 단순히 한달에 세후 월급 300백 정도 버는 월급쟁이 직장인이 기존 전세보증금이나 3~4억짜리 아파트를 팔고 추가로 3~4억을 대출받아 매수할 경우 말이다. 어떻게되었건, 같은 동네주민으로서 수준을 엊비슷하게 맞춰가야할것이고, 맞춰가려 하다보면 생활비만 더 지출할것 같다.  그냥 혼자산다면 별로 신경쓸게 없겠지만, 아이를 키우는 집이라면 얘기가 많이 달라진다. 엄마들끼리의 커뮤니티가 형성되고, 학원이라도 몇개 같이 보낼려고 하거나 공동과외수업을 받자고도 할수 있다. 입히는 옷가지부터 고급자전거, 인라인 스케이트등 놀이기구는 물론이고 장보는 물가도 더 비쌀것이다. 대한민국에서 남부럽지 않게 살기란 참 힘든 일인것 같다. 결국 비싼 아파트에 사는것은 외적으로보이는 이미지일 뿐이지...실속은 없다. 이렇게 얘기하면 다른 생각을 가지고 따지는 사람들이 꼭 있다. 부자동네에 살아야 부자들과 더 많이 어울릴수 있고, 정보도 ...

[주식투자이야기] 경보제약, 상장시 공모가대비 뻥튀기 2배.....그 이후는??

경보제약 공모가 (경보제약 주가흐름: 월봉차트) 위 차트를 보면 경보제약의 공모가가 궁금해진다. 도대체 공모가가 얼마였길래, 상장한 해당월에 38,500원까지 상승했던주가가 내리막길을 걷다가 3년째 하락 및 횡보를 하게되는 걸까 싶다. 한마디로 얼마나 뻥튀겨 먹였길래? 라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애초에 공모가가 높았던 것일까? 아니면 상장시초가가 높았던 것일까? 물린 사람은 누구고, 팔고 나온 사람은 누구일까? 그럼 이제, 3년전으로 돌아가 공모가를 찾아보도록하자. (최초 정정전 공모가액 13,000원) (정정후 공모가액 15,000원) 고가인 38,500원대비, 공모가는 15,000원으로 높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상한 점이 있다. 왜 공모가를 13,000원으로 지정했다가 2,000원을 올려 15,000원으로 변경했을까? 13,000원의 2,000원이면 약 15%가 넘는데, 결코 작은 숫자는 아닌 것이다. 아무튼, 공모가가 확인되었으니, 위에서 품었던 의문에 일부는 해결된 것 같다. 부동산으로 빗대어 얘기하자면 청약당첨후, 전매가 풀리자마자 프리미엄 2배먹고 나온것이다. 왜?? 공모가 15,000원에 상장 시초가가 30,000원, 최고가 38,500원, 최저가가 28,100원이니 못해도 1달안에 2배는 먹었을꺼라는 것이다. 청약한지 1달도 채 못되어 2배가 넘는 수익율이라면...... 이정도 수익율이면 할만 하지 않은가? 그래서 공모주만 연구하는 사람이 있는지도 모르겠다. 그렇지만, 여기서 추가로 생각해 봐야할 것이 있다. 바로 '보호예수' 이다. 공모주투자만 해도 이렇게 뻥튀기가 되는데, 상장전 장외주식을 들고 있었던 대주주나, 기타임원들의 시세차익은 안봐도 비디오다. 그래서 일반 투자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상장후 작게는 6개월에서 길게는 5년까지 보호예수기간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우리사주조합의 물량도 팔지 못했을것이라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