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수학-과학영재 있어도 석학으로 못큰다" [막오른 서울포럼 2019]
올해 10주년을 맞은 본지 주최 ‘서울포럼’을 앞두고연단에 오를 주요 과학계 리더들이 대한민국의 무너진 기초과학 인재육성 생태계에 큰 우려를 표명했다. 중등·교육기관부터 연구기관·산업체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인 토대가 없어 영재가 있어도 석학으로 클 수 없는 구조라는 지적이다.
14일 사전부대행사 ‘신남방포럼’에 이어 15~16일 본격 개최되는 ‘서울포럼 2019’ 행사의 주요 연사·패널들은 13일 본지와 진행한 사전 인터뷰에서 이같이 지적하며 과학계·산업계 모두의 혁신 필요성을 역설했다. 염한웅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은 “기초과학 분야에서 우리의 실력이 부족해 축적의 시간이 더 필요하다”며 한국이 노벨과학상을 받으려면 20~30년 걸릴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대한민국에도 수학·자연과학 등기초분야의 영재들이 있지만 세계적 석학으로 크는 경우가 드문 현실에 대해 “교육 시스템으로 젊은 과학자들을 제대로 키워야 하는데 이 부분이 열악하다”고 진단했다.
신남방 포럼 참석자들은 자국의 시장 친화 정책을 내세우며 한국 기업들의 투자를 요청했다. 이날 입국한 하릴야리 야콥 말레이시아 투자개발청 대표는 “말레이시아의 외국인 투자 정책은 정권이 바뀌어도 변화가 없다”며 “다양한 무역정책을통해 한국 기업인들의 투자를 도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같은 날 입국한 응우옌바끄엉 베트남투자청 부청장도 “베트남은 아세안 중심에 있어 위치 접근성이 좋다. 개방 경제를 안정적으로 추진하는 것도 투자 이점”이라며 한국 기업들이 관심을 가질 것을 당부했다./
출처 : https://sedaily.com/NewsView/1VJ4KFZGI5
--------------------------------------------------------------------------------------------------
뭔가 좀 우울한 기사다.
현재 대한민국의 교육시스템은,
수학-과학 영재가 있다하더라도, 세계적인 석학이 될수가 없다는 구조다.
이런 얘기가 나오는 것은,
싹이보이는 영재들이 중고등학교를 진학하고 대학교에 들어가면,
그냥 평범한?? 친구들이 된다는 뜻이다.
한국학생들이 국제올림피아대회가 있으면, 거기서 수상을 휩쓸다시피 한다.
그런학생들이 지금은 도대체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는가?
오죽했으면, 정확히 책이름이 기억나진 않지만, '올림피아드 수상 영재들, 다들 어디갔을까?'라는 류의 책도 나왔을까?
영재라고 불리우는 친구들의 특징은,
공부를 공부라고 생각하고 하지 않고, 놀이라고 보는 것이다.
부모들이, 제발 공부 좀 그만하라고 사정사정하는데도,
공부를 한다고 하니 말이다.
그런데, 왜 이런아이들이 못 크는 걸까?
'코이의 법칙'인가?
거기서 나오는 물고기 이름이 비단잉어인가 싶다.
사는 환경에 따라서 어항 10Cm, 연못 30Cm, 강에서 60Cm까지 자라는 물고기 말이다.
누군가가 그랬다.
한국의 고추씨를 뙤양볕이 강한 유럽에 가서 심으니 파프리카가 되는데,
유럽종자를 단순히 한국에 심으면, 파프리카처럼 크지 않는다고 말이다.
마치 작금의 한국교육은,
언땅에 씨뿌리는 것과 같다.
영재들 바보 만드는 것 아닌가?
그나마 머리가 똑똑해서 이공계중에서 현실에 눈을 뜬 애들은 의사와 같은 직종을 선택해왔다.
그런데, 의사가 정말 좋은 직업은 아니다.
맨날 아픈사람 상대하고 서비스정신으로 환자를 맞이해야하는데 좋을리가 있겠는가..
결국은 지금 교육방식을 다 때려고쳐야하는데,
지금 교육감은 누규?
조희연이다.
내로남불의 대명사다. 자기자식들은 외고나오다 보내놓고,
평준화 시키겠다고 정책을 쓰니,
마치 노무현이 고졸에서 사시패스해 출세한 후,
사시제도를 폐지시킨것과 같은 경우다.
지금 좌쪽 정치인들 대부분이, 평준화, 반미반일하면서 자녀들은 전부 미국,영국,일본에 보내서 교육하고 있는 것을 보면 그들이 제일 현실을 잘 알고 있는 것이다.
결론이 났다.
내 아들딸이 똑똑한 인재라고 생각되면,
내가 생각하는 것뿐만아니라 주위누구라도 인정한다면,
빚을 내서라도 해외로 교육을 보내는 것이 맞다.
문과쪽은 별로고, 이공계쪽일수록 MIT같은 곳에서 연구직으로 석사까지 하면서, 바로 실리콘밸리에서 교수나 동료들과 창업해서 10건중에 1건만 성공해도 대박난다.
올해 10주년을 맞은 본지 주최 ‘서울포럼’을 앞두고연단에 오를 주요 과학계 리더들이 대한민국의 무너진 기초과학 인재육성 생태계에 큰 우려를 표명했다. 중등·교육기관부터 연구기관·산업체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인 토대가 없어 영재가 있어도 석학으로 클 수 없는 구조라는 지적이다.
14일 사전부대행사 ‘신남방포럼’에 이어 15~16일 본격 개최되는 ‘서울포럼 2019’ 행사의 주요 연사·패널들은 13일 본지와 진행한 사전 인터뷰에서 이같이 지적하며 과학계·산업계 모두의 혁신 필요성을 역설했다. 염한웅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은 “기초과학 분야에서 우리의 실력이 부족해 축적의 시간이 더 필요하다”며 한국이 노벨과학상을 받으려면 20~30년 걸릴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대한민국에도 수학·자연과학 등기초분야의 영재들이 있지만 세계적 석학으로 크는 경우가 드문 현실에 대해 “교육 시스템으로 젊은 과학자들을 제대로 키워야 하는데 이 부분이 열악하다”고 진단했다.
신남방 포럼 참석자들은 자국의 시장 친화 정책을 내세우며 한국 기업들의 투자를 요청했다. 이날 입국한 하릴야리 야콥 말레이시아 투자개발청 대표는 “말레이시아의 외국인 투자 정책은 정권이 바뀌어도 변화가 없다”며 “다양한 무역정책을통해 한국 기업인들의 투자를 도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같은 날 입국한 응우옌바끄엉 베트남투자청 부청장도 “베트남은 아세안 중심에 있어 위치 접근성이 좋다. 개방 경제를 안정적으로 추진하는 것도 투자 이점”이라며 한국 기업들이 관심을 가질 것을 당부했다./
출처 : https://sedaily.com/NewsView/1VJ4KFZGI5
--------------------------------------------------------------------------------------------------
뭔가 좀 우울한 기사다.
현재 대한민국의 교육시스템은,
수학-과학 영재가 있다하더라도, 세계적인 석학이 될수가 없다는 구조다.
이런 얘기가 나오는 것은,
싹이보이는 영재들이 중고등학교를 진학하고 대학교에 들어가면,
그냥 평범한?? 친구들이 된다는 뜻이다.
한국학생들이 국제올림피아대회가 있으면, 거기서 수상을 휩쓸다시피 한다.
그런학생들이 지금은 도대체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는가?
오죽했으면, 정확히 책이름이 기억나진 않지만, '올림피아드 수상 영재들, 다들 어디갔을까?'라는 류의 책도 나왔을까?
영재라고 불리우는 친구들의 특징은,
공부를 공부라고 생각하고 하지 않고, 놀이라고 보는 것이다.
부모들이, 제발 공부 좀 그만하라고 사정사정하는데도,
공부를 한다고 하니 말이다.
그런데, 왜 이런아이들이 못 크는 걸까?
'코이의 법칙'인가?
거기서 나오는 물고기 이름이 비단잉어인가 싶다.
사는 환경에 따라서 어항 10Cm, 연못 30Cm, 강에서 60Cm까지 자라는 물고기 말이다.
누군가가 그랬다.
한국의 고추씨를 뙤양볕이 강한 유럽에 가서 심으니 파프리카가 되는데,
유럽종자를 단순히 한국에 심으면, 파프리카처럼 크지 않는다고 말이다.
마치 작금의 한국교육은,
언땅에 씨뿌리는 것과 같다.
영재들 바보 만드는 것 아닌가?
그나마 머리가 똑똑해서 이공계중에서 현실에 눈을 뜬 애들은 의사와 같은 직종을 선택해왔다.
그런데, 의사가 정말 좋은 직업은 아니다.
맨날 아픈사람 상대하고 서비스정신으로 환자를 맞이해야하는데 좋을리가 있겠는가..
결국은 지금 교육방식을 다 때려고쳐야하는데,
지금 교육감은 누규?
조희연이다.
내로남불의 대명사다. 자기자식들은 외고나오다 보내놓고,
평준화 시키겠다고 정책을 쓰니,
마치 노무현이 고졸에서 사시패스해 출세한 후,
사시제도를 폐지시킨것과 같은 경우다.
지금 좌쪽 정치인들 대부분이, 평준화, 반미반일하면서 자녀들은 전부 미국,영국,일본에 보내서 교육하고 있는 것을 보면 그들이 제일 현실을 잘 알고 있는 것이다.
결론이 났다.
내 아들딸이 똑똑한 인재라고 생각되면,
내가 생각하는 것뿐만아니라 주위누구라도 인정한다면,
빚을 내서라도 해외로 교육을 보내는 것이 맞다.
문과쪽은 별로고, 이공계쪽일수록 MIT같은 곳에서 연구직으로 석사까지 하면서, 바로 실리콘밸리에서 교수나 동료들과 창업해서 10건중에 1건만 성공해도 대박난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