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영화리뷰] 데스 위시 Death Wish 2018

참신하다.

박진감은 없다.

영화에서 이야기 하고자 하는 바가 애매모호하다.


위 3가지가 이영화를 보고 나서 느낀점이다.

평소에 브루스 윌리스의 박진감있는 액션영화를 좋아했기 때문에,
기대를 했었지만,

1955년생, 이제 나이가 드셔서 그런지,
예전 다이하드와 같은 하드코어 액션은 기대하기가 힘들었다.

그러나, 참신했다고 얘기하는 이유는,

브루스윌리스가 액션 초짜로 나온다는 점이다.

총한번 쏴보지 못한, 엘리트 출신 중년 의사가,
괴한으로부터 아내를 잃고, 딸이 반 식물인간되어 병원에 드러눕게 되자,

도시의 영웅으로 변한다.

그런데, 정말 영웅일까?

허구언날 허탕치고, 움직임이 느린 답답한 사법당국을 믿지 못하고,
본인이 직접 법의 심판자로 나선다.

악당임이 판명되면, 과감하게 선빵을 날려버린다.

전혀예상도 못하는 사이에 당하는 우리의 악당들....

그러다가 결국 아내와 딸을 시해한 범인들을 발견하게 되고, 소탕하게 되는 스토리인데.....

영화속에서도 이것이 과연 옳은일인지, 또다른 범죄인지 의견이 분분한 모습을 보여준다.

영화를 보는 내내 좀 애매한 부분이 있었다.

감독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무엇인지.....정확히 가늠하기가 어려웠다.

경찰이 해결해 주지 못하니,

미국국민 개개인이 총기소지를 해야한다는 것인지?

아니면, 미국민의 무분별한 총기소지와 총기소지 허가과정들을 비판하는 것인지....

갈피를 잡기 어려웠다는 것이다.

결론은......

주인공인 브루스윌리스는 그렇게 많은 악당들을 직접 살해(?)하고서도,
법의 심판을 받지 않고, 정당방위 처리되어 버리는데......

결국은 자신의 안전은 국민 개개인이 지켜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결론을 내린다.
비록 위험한 총기를 소지하더라도 말이다.

얼마전 강서구PC방에서 엽기적인 살인행각이 있었다.

우발적으로 보이는 살인인것으로 보이는데, 과연 피해자는 예측이나 했엇을까??

무언가....우리도 미국 편의점처럼 알바들이 도끼나 샷건 같은 휴대용 보안장치 같은것을 소지해야하는 시대가 올것인가???

노무현 대통령시대에....외국인 출입시 지문등록 폐지하고, 조선족들을 위한 취업비자를 만들어주었다...그리고 외국인 범죄율은 올라갔지.

그 후로도 대림역쪽의 조선족들에 의한 살인사고는 공공연히 알게모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이제 문재인 대통령 시대가...되었고,

자국민의 치안과 세금, 경제 그리고 굶어죽어가는 북한주민들의 인권보다는 난민과 테러조직의 우두머리인 북한 김정은 치켜세우기에 급급하니.....앞으로 걱정이 많이 된다.

관련글
‘문재인 탄핵’ 靑 청원에 1만4000여명 서명
http://www.todaykorea.co.kr/news/view.php?no=255024

추세를 보아하니 금방 끝날지도 모르겠다고 예측한 미중 무역분쟁은....10년은 더 갈수도 있을 것 같다.

그리고, 그 무역전쟁을 대리로 치룰수도 있는 것이다.

미국(한국) VS 중국(북한)

그래서 요즘 계속 New Cold War 신냉전시대라고 말이 나오는 것이다.

6.25때 소련과 미국과의 싸움을 북한과 남한이 대리로 치뤘던 것을 생각해 보자...

그런데, 이와 같은 시점에서 우리가 미국이 아니라, 중국과 더 가깝고 손잡는다면.....어떻게 될까???

대한민국도 세컨더리보이콧이나,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는 순간....증시부터 시작해서....부동산까지 대 폭락의 나날이 이어질 것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부동산투자이야기] 비싼 아파트를 사면, 돈을 깔고 앉는 것일까??

평소에 이런 생각을 많이 했다. 비싼 아파트를 사고나면, 그만큼의 쾌적한 거주환경에서 생활할수는 있겠지만, 자칫 너무 많은 돈을 거주비에 들이는게 아닐까? 어차피 부자여서 비싼 아파트나, 전원주택에 호화롭게 살아도 된다고하면 상관없지만, 돈 없는 30~40대들이 빚까지 얻고 목돈 들여 큰맘먹고 최소 6~7억짜리 서울의 신규 아파트를 구매했다고 생각해보자. 7억짜리 아파트에 산다고해서, 생활수준이 크게 나아지는가?? 개선이 되는가?? 아니면 월급이 오르는가? 사업이 잘 되는가?? 현재시세로 23평대 약 7억정도되는 아파트에 산다면, 평당 3천만원이 된다. 평당 3천만원이면, 나름 이름있는 서울의 아파트일 가능성이 많다. 강남은 말할것도 없이 당연히 훨씬 더 비싸고, 20평대에 7억정도면 분당 판교지역이거나 광명 철산지역정도 될것 같다. 이렇게 서울의 비싼 아파트에 산다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 원래 집에 돈이 좀 있었거나, 기존에 부동산으로 돈을 좀 벌어놓은 사람이라면 모르겠다. 하지만 단순히 한달에 세후 월급 300백 정도 버는 월급쟁이 직장인이 기존 전세보증금이나 3~4억짜리 아파트를 팔고 추가로 3~4억을 대출받아 매수할 경우 말이다. 어떻게되었건, 같은 동네주민으로서 수준을 엊비슷하게 맞춰가야할것이고, 맞춰가려 하다보면 생활비만 더 지출할것 같다.  그냥 혼자산다면 별로 신경쓸게 없겠지만, 아이를 키우는 집이라면 얘기가 많이 달라진다. 엄마들끼리의 커뮤니티가 형성되고, 학원이라도 몇개 같이 보낼려고 하거나 공동과외수업을 받자고도 할수 있다. 입히는 옷가지부터 고급자전거, 인라인 스케이트등 놀이기구는 물론이고 장보는 물가도 더 비쌀것이다. 대한민국에서 남부럽지 않게 살기란 참 힘든 일인것 같다. 결국 비싼 아파트에 사는것은 외적으로보이는 이미지일 뿐이지...실속은 없다. 이렇게 얘기하면 다른 생각을 가지고 따지는 사람들이 꼭 있다. 부자동네에 살아야 부자들과 더 많이 어울릴수 있고, 정보도 ...

신세계 스타필드 (Starfield) 과연 성공할 것인가??

위 사진은 코엑스 별마당 도서관에서 찍은 것이다. 코엑스에서 만난 지인이, 이제 코엑스가 아니라 스타필드라고 했다. '무슨 말인가요??" 신세계 스타필드가 코엑스 쇼핑몰을 인수했다고 했다. 인수하면서 위와 같은 별마당 도서관을 설립했다고 한다. 코엑스는 건물 자체의 이름으로 알고 있었는데, 인수자체가 되는 개인이나 법인의 것이었나?? 하는 첫번째 의문이 들었고, 두번째로는 수익성도 없는 별마당이라고 이름붙인 '거대 도서관'을 서울 한복판 금싸라기땅에 설립한 이유가 무엇일까? 회원제도 아니고, 누구나가 자유롭게 입출입이 가능한 도서관 말이다. 궁금증이 일어나서 '코엑스'에 대해서 다시 찾아보았다. '위키백과'에 의하면 코엑스 소유자 : 한국무역협회라고 나와있지 않은가?? 음...그렇다면 코엑스는 넓고 크니까 쇼핑몰만 팔수도 있을까 생각에 상세보기를 눌러 확인해 보았다. 역시나...1979년에 최초에 만들어졌고, 이후 2013년 전체 리노베이션(리모델링)에 들어갔으나, 코엑스몰 은 실적 부진으로 운영권이 신세계로 넘어가 '코엑스 스타필드'가 되었다고 나와있다. 그렇다면 국제기구 행사나 전시회성격의 것을 제외한 코엑스 쇼핑몰에 관한 운영권은 신세계가 가져간다고 보면 되겠다.  신세계가 인수하게된 계기도 기존 쇼핑몰 수익이 좋지 않았기 때문이라는데, 신세계는 무슨 생각으로 인수를 하게 된것일까? 2016년 9월 스타필드 하남을 필두로, 지금 설명하고 있는12월 코엑스 스타필드, 3호점으로 2017년 8월 고양에 스타필드를 설치하였고 앞으로도 마곡, 청라, 안성, 창원, 수원, 구월에도 세운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건..뭐...롯데 따라하기인가?라고 잠깐 생각이 들었으나....소비자들에게 온라인상에서 채워줄수 없는 것들을 오프라인 상점에서 체험하고 시현해주기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듯하다. 그 노력의 일환으로 코엑스 스타필드의 별...

[주식투자이야기] 경보제약, 상장시 공모가대비 뻥튀기 2배.....그 이후는??

경보제약 공모가 (경보제약 주가흐름: 월봉차트) 위 차트를 보면 경보제약의 공모가가 궁금해진다. 도대체 공모가가 얼마였길래, 상장한 해당월에 38,500원까지 상승했던주가가 내리막길을 걷다가 3년째 하락 및 횡보를 하게되는 걸까 싶다. 한마디로 얼마나 뻥튀겨 먹였길래? 라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애초에 공모가가 높았던 것일까? 아니면 상장시초가가 높았던 것일까? 물린 사람은 누구고, 팔고 나온 사람은 누구일까? 그럼 이제, 3년전으로 돌아가 공모가를 찾아보도록하자. (최초 정정전 공모가액 13,000원) (정정후 공모가액 15,000원) 고가인 38,500원대비, 공모가는 15,000원으로 높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상한 점이 있다. 왜 공모가를 13,000원으로 지정했다가 2,000원을 올려 15,000원으로 변경했을까? 13,000원의 2,000원이면 약 15%가 넘는데, 결코 작은 숫자는 아닌 것이다. 아무튼, 공모가가 확인되었으니, 위에서 품었던 의문에 일부는 해결된 것 같다. 부동산으로 빗대어 얘기하자면 청약당첨후, 전매가 풀리자마자 프리미엄 2배먹고 나온것이다. 왜?? 공모가 15,000원에 상장 시초가가 30,000원, 최고가 38,500원, 최저가가 28,100원이니 못해도 1달안에 2배는 먹었을꺼라는 것이다. 청약한지 1달도 채 못되어 2배가 넘는 수익율이라면...... 이정도 수익율이면 할만 하지 않은가? 그래서 공모주만 연구하는 사람이 있는지도 모르겠다. 그렇지만, 여기서 추가로 생각해 봐야할 것이 있다. 바로 '보호예수' 이다. 공모주투자만 해도 이렇게 뻥튀기가 되는데, 상장전 장외주식을 들고 있었던 대주주나, 기타임원들의 시세차익은 안봐도 비디오다. 그래서 일반 투자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상장후 작게는 6개월에서 길게는 5년까지 보호예수기간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우리사주조합의 물량도 팔지 못했을것이라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