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중국의 감시사회와 그것을 따라가는 대한민국



관련기사
中 사회신용시스템, 14억 국민 24시간 모니터링
http://www.epoch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9188

중국 거대한 감옥 건설

만약 대한민국 전 국민이 24시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된다면 어떤 생각이 들까?

내가 어디를 갔고, 누구를 만났고, 무엇을 했는지,
나의 일상이 누군가에게 24시간 모니터링 되고 있다면??

실시간으로 보지 않더라도, 5년뒤에 내가 뭘했었는지 누군가에 의해서 찾아볼수 있다면??

정말 생각만해도 섬뜩하지 않는가??

내가 마치 트루먼쇼의 주인공이 된것과 같을 것이다.

완전 쇼킹하다.

그런데, 그와 같은 현실이 지금 중국에서는 벌어지고 있다.
진정한 공산주의 국가라 할수 있다.
어떤 방식으로든 인민을 통제한다.

홍콩,마카오,대만인의 경우 주거증을 발급해 준다.

반체제인사들의 경우 철저히 감시하다가 뭔가 수작을 부리는 것 같으면,
잡아다 가둬놓고, 최소 몇개월간 실종시켜버린다.

대표적인 사례가 판빙빙이나, 인터폴 중국총재다.

도저히 못견뎌서 망명이나 이민을 가려고 하면, 그것도 통제된다.
어디로 가는지 실시간 모니터링 되고 있기 떄문에, 공항이나 검색대같은 곳에서 여지없이 걸리기 때문이다.

알리바바와 텐센트와 같은 조단위 그룹회사도 국유화 될 전망이라고 하니......
할말이 없다.  이미 그들의 알리페이와 위챗페이는 정부기관 소속인 유니온페이, 왕롄과 같은곳에 이미 흡수된 상태이다.

중국은 그렇다치자...

그런데 대한민국이 그걸 따라가고 있다.

의도한것인지도 모른다.

무슨 말인고 하니, 바로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문제다.


관련기사
"우리 회사 정규직 70%를 빼가겠다니…이게 민주노총의 정의인가"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102409641

민주노총, 민간업체 소속 8000명 公기업 直고용 요구

“우리 회사 국내 사업장의 총직원이 510명인데 이 중 370명을 공기업이 직고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며 “한마디로 회사를 폐업하라는 얘기인데 이게 그들이 말하는 정의인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기사를 읽다보니, 나도 모르게 이런 미친00....욕이 나온다.

고용난을 빙자하여 정부기관의 몸집을 최대한 키워가고 있는 것이다.
정부의 권한이 점점 막대해져간다.
그것은 바로 국민의 세금이 더 많이 필요하다는 말이고,
두번째로는 방만 경영을 하고, 적자가 나도 누구하나 제대로 책임지는 사람이 없다는 말이 된다.


참 걱정이 많이된다.

어차피 4차산업혁명이 상용화되면서, 모든 정보가 디지털화되면,
데이터를 소유하고 있는 기업이나 정부가 어느정도 통제가 가능한 시대가 오게 되어 있다.

내가 카드를 언제썼는지, 결제를 언제했는지,
스마트카를 타고 어디로 갔는지 등등 모두 CCTV에 잡히거나 전산에 등록되어 추적이 가능할 것이다. 지금 시스템으로도 어느정도 가능한 일이긴하다.

그런데, 그것을 대놓고 저렇게 CCTV로 1명 1명 체킹해서 전산화 시키고 그것을 데이터화해서 일괄적으로 감시 통제하겠다는 것은, 문제가 있어 보인다.

공산당이라서 그렇겠지만,
아무런 사회적 합의도 없이 말이다.

1991년 미국이 소련을 무너뜨리고
2001년 중국을 WTO가입시키면서,
기대했던 자유시장체제, 자유민주주의와는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반대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지금 미중무역분쟁이 일어나고 있는 것인데,
이것은 겉으로는 경제싸움인데, 실질적으로는 이념적 싸움이 되고 있어서 신냉전 시대가 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지금 한국은 중국 공산주의적 느낌으로 가고 있는 것 같아 걱정된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주식투자이야기] 폴루스홀딩스, 폴루스바이오팜을 통한 우회상장 (제2의 매직마이크로가 된것인가??)

폴루스라는 제약회사가, 경기도 화성에 공장을 짓는다는 소식을 듣고, 인건비가 인도나, 중국, 그리고 제3세계 나라들보다 더 비싼 대한민국에 왜?? 라는 궁금증이 발동했고, 어떤 회사인지 궁금하여 관련 기사를 먼저 찾아보게 되었다. 네이버 검색대에 나온 신문기사를 1번과 2번으로 나누어 보았다. 1번에서 알수 있는 사실이 '폴루스바이오팜'이 있고, '폴루스'가 있다. 2번은 폴루스는 2년전 창업 셀트리온 출신 핵심 인력이 창업한 회사가 '폴루스'라는 것을 알수 있고, '글로벌 바이오 복제약 시장에...' 까지만 나와있다. 1번 기사들을 보고 드는 느낌은 아~~~폴루스는 '지주회사'이고,  폴루스바이오팜은 폴루스의 자회사 인데, 어떠한 사유로인해서 합병을 하는구나?? 라고 단순히 생각이 든다.  그리고 2번에서 '셀트리온'이라는 단어가 눈에 띄면서, 뭔가 이와 연관된 회사라면 '대박'?? 이정도까지 간단하게 추측해 보고 넘어가보자. 폴루스나 폴루스바이오팜이 상장회사 주식이라면 더 자세한 정보를 찾아볼수 있겠다 싶었다. 참, 여기에서 첫번째 궁금증은 어느정도 해소가 되었다. 단순히 많은 기술적인 사항이 들어가지 않는 저가의 API와 같은 공장은 인도나, 중국등지에 설립하는것이 좋을수 있겠지만, 핵심 연구인력이 상주해야한다면 당연히 본사지역이나 본사와 가까운 주요도시거점에 공장을 설립하는게 맞을 것 같다. 이잉?? 맨 아래 빨간색으로 표시한 네모박스를 먼저보자. 바이오팜이라고 해서 제약회사인줄 알았는데, 매출구성이 이게 모냐? 97%이상이 통신장비 매출이고, 나머지 약3%가 용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칸 네모박스 위를 보면, 2018년 1월 26일에 사명을 지금과 같이 바꿨고, 맨 위의 네모박스를 보면, 최대주주가 바로 '폴루스홀딩스'라는 것을 알수 있다. 과연 폴루스가 지배주주 일꺼라는...

[부동산투자이야기] 비싼 아파트를 사면, 돈을 깔고 앉는 것일까??

평소에 이런 생각을 많이 했다. 비싼 아파트를 사고나면, 그만큼의 쾌적한 거주환경에서 생활할수는 있겠지만, 자칫 너무 많은 돈을 거주비에 들이는게 아닐까? 어차피 부자여서 비싼 아파트나, 전원주택에 호화롭게 살아도 된다고하면 상관없지만, 돈 없는 30~40대들이 빚까지 얻고 목돈 들여 큰맘먹고 최소 6~7억짜리 서울의 신규 아파트를 구매했다고 생각해보자. 7억짜리 아파트에 산다고해서, 생활수준이 크게 나아지는가?? 개선이 되는가?? 아니면 월급이 오르는가? 사업이 잘 되는가?? 현재시세로 23평대 약 7억정도되는 아파트에 산다면, 평당 3천만원이 된다. 평당 3천만원이면, 나름 이름있는 서울의 아파트일 가능성이 많다. 강남은 말할것도 없이 당연히 훨씬 더 비싸고, 20평대에 7억정도면 분당 판교지역이거나 광명 철산지역정도 될것 같다. 이렇게 서울의 비싼 아파트에 산다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 원래 집에 돈이 좀 있었거나, 기존에 부동산으로 돈을 좀 벌어놓은 사람이라면 모르겠다. 하지만 단순히 한달에 세후 월급 300백 정도 버는 월급쟁이 직장인이 기존 전세보증금이나 3~4억짜리 아파트를 팔고 추가로 3~4억을 대출받아 매수할 경우 말이다. 어떻게되었건, 같은 동네주민으로서 수준을 엊비슷하게 맞춰가야할것이고, 맞춰가려 하다보면 생활비만 더 지출할것 같다.  그냥 혼자산다면 별로 신경쓸게 없겠지만, 아이를 키우는 집이라면 얘기가 많이 달라진다. 엄마들끼리의 커뮤니티가 형성되고, 학원이라도 몇개 같이 보낼려고 하거나 공동과외수업을 받자고도 할수 있다. 입히는 옷가지부터 고급자전거, 인라인 스케이트등 놀이기구는 물론이고 장보는 물가도 더 비쌀것이다. 대한민국에서 남부럽지 않게 살기란 참 힘든 일인것 같다. 결국 비싼 아파트에 사는것은 외적으로보이는 이미지일 뿐이지...실속은 없다. 이렇게 얘기하면 다른 생각을 가지고 따지는 사람들이 꼭 있다. 부자동네에 살아야 부자들과 더 많이 어울릴수 있고, 정보도 ...

[주식투자이야기] 경보제약, 상장시 공모가대비 뻥튀기 2배.....그 이후는??

경보제약 공모가 (경보제약 주가흐름: 월봉차트) 위 차트를 보면 경보제약의 공모가가 궁금해진다. 도대체 공모가가 얼마였길래, 상장한 해당월에 38,500원까지 상승했던주가가 내리막길을 걷다가 3년째 하락 및 횡보를 하게되는 걸까 싶다. 한마디로 얼마나 뻥튀겨 먹였길래? 라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애초에 공모가가 높았던 것일까? 아니면 상장시초가가 높았던 것일까? 물린 사람은 누구고, 팔고 나온 사람은 누구일까? 그럼 이제, 3년전으로 돌아가 공모가를 찾아보도록하자. (최초 정정전 공모가액 13,000원) (정정후 공모가액 15,000원) 고가인 38,500원대비, 공모가는 15,000원으로 높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상한 점이 있다. 왜 공모가를 13,000원으로 지정했다가 2,000원을 올려 15,000원으로 변경했을까? 13,000원의 2,000원이면 약 15%가 넘는데, 결코 작은 숫자는 아닌 것이다. 아무튼, 공모가가 확인되었으니, 위에서 품었던 의문에 일부는 해결된 것 같다. 부동산으로 빗대어 얘기하자면 청약당첨후, 전매가 풀리자마자 프리미엄 2배먹고 나온것이다. 왜?? 공모가 15,000원에 상장 시초가가 30,000원, 최고가 38,500원, 최저가가 28,100원이니 못해도 1달안에 2배는 먹었을꺼라는 것이다. 청약한지 1달도 채 못되어 2배가 넘는 수익율이라면...... 이정도 수익율이면 할만 하지 않은가? 그래서 공모주만 연구하는 사람이 있는지도 모르겠다. 그렇지만, 여기서 추가로 생각해 봐야할 것이 있다. 바로 '보호예수' 이다. 공모주투자만 해도 이렇게 뻥튀기가 되는데, 상장전 장외주식을 들고 있었던 대주주나, 기타임원들의 시세차익은 안봐도 비디오다. 그래서 일반 투자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상장후 작게는 6개월에서 길게는 5년까지 보호예수기간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우리사주조합의 물량도 팔지 못했을것이라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