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탈원전→북한석탄수입 / 국민연금 인상 → 북한퍼주기 / 포퓰리즘

전문가들과 해당관련업자들이 모두 반대하는 탈원전을 도대체 왜 할까??

일본이 대지진과 그에 따른 쓰나미로 원전방사능 유출로 큰 피해를 입었기 때문에,
단순히 그 전처를 밟지 않기 위해서인가??

아니면,

탈원전을 해야 신재생에너지 발전이 앞당겨지기 때문에 그런것일까??


먼저 첫번째 질문에 대한 의심을 해보자.

일본 대지진으로 원전피해가 발생했고,
우리나라도 포항, 경주 지진으로 원전에 대한 안전논란이 한동안 있었다.

정말 안전에 대한 사항 때문이라면,
왜 중국정부에 항의를 하지 않나??


관련글
편서풍타고 날아오는 중국방사능 
https://getmoneyball.blogspot.com/2018/08/200.html?q=%EC%9B%90%EC%A0%84


신문기사
서울 지척 거리 中 산둥성에… 아시아 최대 원전 시운전 돌입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9/05/2018090503979.html#csidx9f9e1dd3c23ac36a095ae15a226cc9e

원전 위협, 진짜 문제는 중국
http://www.futur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528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나고나서,
일본산 농수산물 수입될때, 우리나라 국민들 반응이 어땠었는가?
SNS에서도 그렇고, 언론에서도 그와관련된 정말 감시감독을 잘해야한다고 하지 않았었나??

그런데, 왜 중국이 대륙동남부에 저렇게 원전을 많이 때려짓는데도,
우리나라에서는 일언반구 말이 없는가?? 청와대에 청원을 많이 올리고 있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왜 이런 청원은 하나도 없는가?

'편서풍'이라는 거....초등학교때 배우는게 아닌가?
초등학교는 의무교육이라서 나오지 않은 사람도 없고, 편서풍은 기본상식중에 상식인데도 말이다.

우리나라 원전에 대한 '안전성'은 세계최고 수준이다.
중국은 고장이 자주 난다고 한다.

거기다가 산둥반도 위 랴오닝성에 지은 원전위치를 유심히 봐보자.
휴화산인 백두산과 인접해 있다.
불안하다. 길림성쪽에 지진이 간헐적으로 발생한다고 하는데, 위험성이 충분히 내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정부는 뭐하는가? 정은이 한테라도 얘기해야하는 것 아닌가?

중국정부는 아직까지도 공산주의이고 언론을 통제하기 때문에,
방사능 유출등이 있어도, 쉬쉬할 가능성이 많다.

방사능 유출되면? 바로 편서풍타고 한국으로 날아온다. 그리고 우리는 그것을 마시고, 접촉하면 방사능 피폭이 되는 것이다. 암환자 많이 생기면 병원이나 관련 제약회사들은 좋아하겠다. 그리고 방사능 측정기 제조회사나...이런곳들도 좋아라...하겄지.



두번째로,

신재생에너지 발전??

신재생에너지는 수급이 불안정하다. 태양광으로, 풍력둥으로 1년 12달 안정적인 수급이 이뤄질까??

태양광과 같은 에너지는 원전과 달리 교류방식이 아니라, 직류이고, ESS로 저장이 힘들다.
풍력은 교류이기는 한데, 한번 더 전기사용방식을 전환해줘야 한다고 한다..

그래서 결국은 Back up 백업 시스템이 필요한데,
원전가동을 하지 않으면 석탄으로 화력발전소를 돌려야 한다.

석탄은, 북한 무연탄이 있지 않은가?
북한 석탄은 기계가 아니라 사람들이 아오지 탄광 같은곳에서 직접 채굴하기 때문에 질이 좋다고 한다.

그럼,
얼마전에 있었던 석탄 밀수입과 같은 일이 계속해서 발생하게 될것이다.

이는 곧 북한 퍼주기가 아니겠는가??

이번 폭염이 있을때도, 전력수급자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원전가동으로 백업했다.
이제 원전에서 원료를 다 빼버리면, 원전자체를 다시는 돌리지 못한다고 한다.

이제 석탄과, LNG밖에 없다.
LNG는 비싸니깐 북한에서 석탄 가져와서 돌리겠지..

그럼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아지니까, 파리기후협정을 어기게 되는거네?
탄소배출권 시장을 키울려고 작정하는 것인가??

독일의 탈원전 따라하는 것 같은데,
왜 그들의 실패사례를 보고 배우지는 못하는가??

태양광도 결국에는, 집있는 사람, 땅 있는 사람한테 결국 유리한 시스템 아니겠는가?

내집도 아닌데, 태양광 설치하나??

그리고 정부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장려한다고 태양광설치운영에 대한 보조금을 주게 되어있다.  그런데, 우리나라 태양광 원가자체가 중국에 비해서 경쟁력이 없으니, 또 수입해 와야하는데...그럼 또 세금으로 중국퍼주는 것이 되고, 중국을 퍼주면, 중국은 또 북한을 지원해 준다.



마치...국민연금이 지금 북한 자금 퍼주기 방식과 비슷하게 되는 것 같지 않는가??

국민연금이 기업들 목죄고, 경영권을 간섭하려하는 자체가 말이 되지 않는다.

어쨋든,
국민연금이 지금 월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9%이면,
이것을 앞으로는 25%로 늘린다고 한다.


관련기사
함진규 “국민연금 2039년부터 보험료율 15~25% 인상 보도… 매우 충격적”
http://www.kukinews.com/news/article.html?no=578192


노인공화국이 될것이므로, 국민연금의 재정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라고 하는데,
이것은 하나의 핑계에 불과하다.

국민연금이 북한자금의 세탁을 돕고 있고, 북한에 투자하고 있는,
중국업체 ZTE에 수십억원을 투자했다고 한다.


관련기사
제재받는 北 진출 기업에 수십억 투자한 국민연금공단
https://news.joins.com/article/22026927


그와 관련해서 미국이 ZTE에 부과한 벌금은 1.8조원이 넘는데,
국민연금은 ZTE의 주요주주??

미국도 지금 벼르고 있을지 모른다.
현재 한국이 북한을 몰래 퍼주고 있다는 사실을....
아마 알고도 모른척 하고 있을 것이다.
마치 검찰이 정치권이나 스캔들과 같은 약점들 하나씩 모아놓고 있다가,
나중에 빵빵 터뜨리는 것처럼 말이다.


아무튼 미래를 보지 못하고 근시안적인 정책만 내는...정부인사들과 규제만 하는 법안을 내놓는 국회의원들..
그리고 표플리즘에 빠져....그들을 투표로 뽑는 국민들..

경부고속도로 놓는데,
경부고속도로 놓으면, 차있는 사람만 이용하게 된다고.....
시위하면서 들어누웠다는 김대중, 김영삼 전직 대통령.

결국 왕복4차선으로 줄여서 지었고, 다시 더 많은 돈을 들여서 8차선이상으로 확장하지 않았나...

관련블로그
김대중 김영삼의 경부 고속도로 반대
https://ccd888.blog.me/220800817882

경부고속도로(나무위키)
https://namu.wiki/w/%EA%B2%BD%EB%B6%80%EA%B3%A0%EC%86%8D%EB%8F%84%EB%A1%9C


정부가 떠먹여주는 밥...좋아라 하지 말자.
무상복지정책 좋아라 하다가...
다 굶어죽는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부동산투자이야기] 비싼 아파트를 사면, 돈을 깔고 앉는 것일까??

평소에 이런 생각을 많이 했다. 비싼 아파트를 사고나면, 그만큼의 쾌적한 거주환경에서 생활할수는 있겠지만, 자칫 너무 많은 돈을 거주비에 들이는게 아닐까? 어차피 부자여서 비싼 아파트나, 전원주택에 호화롭게 살아도 된다고하면 상관없지만, 돈 없는 30~40대들이 빚까지 얻고 목돈 들여 큰맘먹고 최소 6~7억짜리 서울의 신규 아파트를 구매했다고 생각해보자. 7억짜리 아파트에 산다고해서, 생활수준이 크게 나아지는가?? 개선이 되는가?? 아니면 월급이 오르는가? 사업이 잘 되는가?? 현재시세로 23평대 약 7억정도되는 아파트에 산다면, 평당 3천만원이 된다. 평당 3천만원이면, 나름 이름있는 서울의 아파트일 가능성이 많다. 강남은 말할것도 없이 당연히 훨씬 더 비싸고, 20평대에 7억정도면 분당 판교지역이거나 광명 철산지역정도 될것 같다. 이렇게 서울의 비싼 아파트에 산다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 원래 집에 돈이 좀 있었거나, 기존에 부동산으로 돈을 좀 벌어놓은 사람이라면 모르겠다. 하지만 단순히 한달에 세후 월급 300백 정도 버는 월급쟁이 직장인이 기존 전세보증금이나 3~4억짜리 아파트를 팔고 추가로 3~4억을 대출받아 매수할 경우 말이다. 어떻게되었건, 같은 동네주민으로서 수준을 엊비슷하게 맞춰가야할것이고, 맞춰가려 하다보면 생활비만 더 지출할것 같다.  그냥 혼자산다면 별로 신경쓸게 없겠지만, 아이를 키우는 집이라면 얘기가 많이 달라진다. 엄마들끼리의 커뮤니티가 형성되고, 학원이라도 몇개 같이 보낼려고 하거나 공동과외수업을 받자고도 할수 있다. 입히는 옷가지부터 고급자전거, 인라인 스케이트등 놀이기구는 물론이고 장보는 물가도 더 비쌀것이다. 대한민국에서 남부럽지 않게 살기란 참 힘든 일인것 같다. 결국 비싼 아파트에 사는것은 외적으로보이는 이미지일 뿐이지...실속은 없다. 이렇게 얘기하면 다른 생각을 가지고 따지는 사람들이 꼭 있다. 부자동네에 살아야 부자들과 더 많이 어울릴수 있고, 정보도 ...

신세계 스타필드 (Starfield) 과연 성공할 것인가??

위 사진은 코엑스 별마당 도서관에서 찍은 것이다. 코엑스에서 만난 지인이, 이제 코엑스가 아니라 스타필드라고 했다. '무슨 말인가요??" 신세계 스타필드가 코엑스 쇼핑몰을 인수했다고 했다. 인수하면서 위와 같은 별마당 도서관을 설립했다고 한다. 코엑스는 건물 자체의 이름으로 알고 있었는데, 인수자체가 되는 개인이나 법인의 것이었나?? 하는 첫번째 의문이 들었고, 두번째로는 수익성도 없는 별마당이라고 이름붙인 '거대 도서관'을 서울 한복판 금싸라기땅에 설립한 이유가 무엇일까? 회원제도 아니고, 누구나가 자유롭게 입출입이 가능한 도서관 말이다. 궁금증이 일어나서 '코엑스'에 대해서 다시 찾아보았다. '위키백과'에 의하면 코엑스 소유자 : 한국무역협회라고 나와있지 않은가?? 음...그렇다면 코엑스는 넓고 크니까 쇼핑몰만 팔수도 있을까 생각에 상세보기를 눌러 확인해 보았다. 역시나...1979년에 최초에 만들어졌고, 이후 2013년 전체 리노베이션(리모델링)에 들어갔으나, 코엑스몰 은 실적 부진으로 운영권이 신세계로 넘어가 '코엑스 스타필드'가 되었다고 나와있다. 그렇다면 국제기구 행사나 전시회성격의 것을 제외한 코엑스 쇼핑몰에 관한 운영권은 신세계가 가져간다고 보면 되겠다.  신세계가 인수하게된 계기도 기존 쇼핑몰 수익이 좋지 않았기 때문이라는데, 신세계는 무슨 생각으로 인수를 하게 된것일까? 2016년 9월 스타필드 하남을 필두로, 지금 설명하고 있는12월 코엑스 스타필드, 3호점으로 2017년 8월 고양에 스타필드를 설치하였고 앞으로도 마곡, 청라, 안성, 창원, 수원, 구월에도 세운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건..뭐...롯데 따라하기인가?라고 잠깐 생각이 들었으나....소비자들에게 온라인상에서 채워줄수 없는 것들을 오프라인 상점에서 체험하고 시현해주기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듯하다. 그 노력의 일환으로 코엑스 스타필드의 별...

[주식투자이야기] 경보제약, 상장시 공모가대비 뻥튀기 2배.....그 이후는??

경보제약 공모가 (경보제약 주가흐름: 월봉차트) 위 차트를 보면 경보제약의 공모가가 궁금해진다. 도대체 공모가가 얼마였길래, 상장한 해당월에 38,500원까지 상승했던주가가 내리막길을 걷다가 3년째 하락 및 횡보를 하게되는 걸까 싶다. 한마디로 얼마나 뻥튀겨 먹였길래? 라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애초에 공모가가 높았던 것일까? 아니면 상장시초가가 높았던 것일까? 물린 사람은 누구고, 팔고 나온 사람은 누구일까? 그럼 이제, 3년전으로 돌아가 공모가를 찾아보도록하자. (최초 정정전 공모가액 13,000원) (정정후 공모가액 15,000원) 고가인 38,500원대비, 공모가는 15,000원으로 높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상한 점이 있다. 왜 공모가를 13,000원으로 지정했다가 2,000원을 올려 15,000원으로 변경했을까? 13,000원의 2,000원이면 약 15%가 넘는데, 결코 작은 숫자는 아닌 것이다. 아무튼, 공모가가 확인되었으니, 위에서 품었던 의문에 일부는 해결된 것 같다. 부동산으로 빗대어 얘기하자면 청약당첨후, 전매가 풀리자마자 프리미엄 2배먹고 나온것이다. 왜?? 공모가 15,000원에 상장 시초가가 30,000원, 최고가 38,500원, 최저가가 28,100원이니 못해도 1달안에 2배는 먹었을꺼라는 것이다. 청약한지 1달도 채 못되어 2배가 넘는 수익율이라면...... 이정도 수익율이면 할만 하지 않은가? 그래서 공모주만 연구하는 사람이 있는지도 모르겠다. 그렇지만, 여기서 추가로 생각해 봐야할 것이 있다. 바로 '보호예수' 이다. 공모주투자만 해도 이렇게 뻥튀기가 되는데, 상장전 장외주식을 들고 있었던 대주주나, 기타임원들의 시세차익은 안봐도 비디오다. 그래서 일반 투자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상장후 작게는 6개월에서 길게는 5년까지 보호예수기간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우리사주조합의 물량도 팔지 못했을것이라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