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사우디아라비아 유가 감산계획 발표의 속내

트럼프 “유가급등 원치않아”…이란제재 첫날 유가 ‘약보합’, 중장기전망 엇갈려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81106000209#a

이란 제재에도 국제유가 급락…WTI 선물 7개월 만에 최저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110714721

국제유가 떨어져, 이란 제재에 예외국가 인정하는 미국 방침의 여파
http://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101242

추락하는 유가에 쌓이는 산유국 고민…사우디, 결국 감산한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116732

사우디, 美 중간선거 끝나자마자 "다음달부터 원유 감산"
https://news.joins.com/article/23115384?cloc=joongang|article|tagnews


국제유가에 대해서,
계속해서 관심을 가지고, 확인을 하다보니,
이제는 뉴스기사의 헤드라인만 봐도, 대충 느낌이 온다.

이제 의문이 풀렸다.

내가 예상하는 국제유가의 그래프는 우상향이었다.

그런데, 지난달 10/3일 WTI기준 76.41달러를 찍고 최근들어 계속해서 하락하길래,
무슨 이유인지 궁금했다.

표면적으로 나오는 이유는,
제 2차 이란제재발표가 11/5일날 나오는데,
예상보다 제재강도가 약할 것이라는 전망 때문이었다.


(출처: 네이버 WTI유가 그래프)


1단계는 세컨더리 보이콧으로 원유제재가 아니었기 때문에, 국제유가가 큰 영향을 끼치지는 않았지만, 그 전부터 시장에서는 11/5 원유수출제재가 들어가면 국제유가가 폭등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고, WTI기준 76달러까지 상승하였다.

그런데, 2차 원유제재부분에서 8개국이 예외가 인정된 것이다.

바로 한국, 중국, 일본, 인도, 터키, 인도, 그리스, 이탈리아 대만

가장 이란산 원유를 가장많이 수입하는 국가들이다.
왜 8개국 예외규정을 두었는지는 차치하고서라도,

착각하지 말아야 하는것이
이 8개국 예외규정은 영구적인 예외가 아니다.

단 6개월로 한시적인 사항인 것이다.

6개월

6개월

6개월

과연 이 6개월이 잘 지켜질지 모르겠지만,
이란제재는 Ongoing이다. 말 그대로 사라진 악재가 아닌 진행되고 있는 악재이다.

기사를 보면, 2018년 4월 기준 이란이 생산하는 하루평균 원유량은 280만 배럴이다.

만약 모든 생산량이 막힌다고 가정해보면,
비즈니스 데이로 달에 20일로만 계산해도 280만 x 20일이면 5600만 배럴이고,
1년이면 약 6.72억만 배럴 공급이 줄어들게 된다.

Oh my god!

당연히 점진적으로 감산해 나가고, 예전에도 그랫듯이 일부 수출할 길은 열어줄 것이다.


하지만, 오늘 발표한 사우디의 12월부터 50만배럴 감산 계획 발표는 정말 대놓고,
유가를 끌어올리겠다는 수작으로 보인다.

이건 소설일수 있지만,

위 기사들의 내용으로 추론해 보면,
11/5일 이란의 원유제재에서 8개국이 한시적 제외조치된 것과,
사우디가 트럼프에게 일평균 100만 배럴 증산하겠다고 약속했었다가,
단숨에 깨버린 것이 모두 미국 중간선거때문이라는게 드러나고 말았다.


美압박에 원유 증산한다던 사우디 "12월부터 50만배럴 감산"
http://app.yonhapnews.co.kr/YNA/Basic/SNS/r.aspx?c=AKR20181112002700111&did=1195m

사우디 "산유량 하루 100만 배럴 줄여야"…UAE도 동조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013485&plink=ORI&cooper=NAVER

트럼프는 표를 의식해,
선거전까지 유가를 안정시키고자 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무역전쟁까지 고려해서,
시진핑과 좋은 의미로 '무역갈등을 원치 않는다고' 11/1일 전화통화를 했다고까지 발표하기까지 했다.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인 커들러는 무역합의 초안을 작성했다는 사실이 없다고 부인했지만 말이다.

유가가 안정되어, 미국내 물가가 안정되고,
무역분쟁이 해소될 요지를 보여야, 미국 대두, 콩을 수입해온 중국이 다시 수입을 재개해서 농가의 부담을 덜어줄것 아닌가?

거기다가 FRB의 금리인상까지 미친짓이라고 비난하는 것이....생색내기용이라는 것을
알고 있는 사람은 다 알 것이다.

트럼프의 협상전략은, 자신의 속마음을 절대 보여주지 않는 것이기 때문이다.

오히려 진심은,
유가를 올리고, 관세를 부과해서 중국을 고사시켜고,
티베트나 위구르 신장지역 민족들의 독립을 서포트하고,
결과적으로 사회주의체계를 붕괴시키는 것이다.

미국내 감세정책과 대규모 재정투입으로 말미암은 무지막지한 미국 GDP성장의 브레이크를 걸어줄 금리인상을 바라고 있는지도 모른다.
금리인상이 되야, 미국으로 돈이 몰리고, 돈이 몰려야 미국경제가 살아나는데, 브레이크를 걸어주지 않으면 물가가 엄청나게 치솟게 되기 때문이다. 달러캐리가 일어나야 중국이 보유하고 있는 외환보유고도 그래야 바닥이 나게 되고, 약해지기 때문이다.

아무튼,

사우디의 감산발표는 아주 놀랍다.
중간선거가 끝나자마자 발표하는 것으로 보아, 이미 짜여진 각본일 가능성이 많고,
혼자 감산을 한다는 건 위험하기 때문에,
대놓고 발표했다는 것은, 이미 인접국가와 산유국들과 모두 카르텔을 형성해 감산하기로 약속이 되어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

혼자 감산하다 다른 나라들은 모두 증산해 버리면,
시장점유율이 폭망하기 때문에, 함부로 혼자서 단독행동을 했다고는 보기 힘들다.

시장의 원유재고량이 늘어난 이유도,
이미 시장에서는 감산을 예측했기 때문에, 미리 재고를 확보해둔것이 아닐까? 하는 추측까지 든다.



부동산 카페에서는 이번에 경제부총리가된 김수현과 함께, 석유값이 오르면 물가가 상승하고 결국 물가상승률보다 아파트값 상승이 더 많을 것이라고들 떠들썩 거리는 검색글도 나오는 것 같은데.....

아파트값은 11월예정인 국내금리인상과, 쏟아지고 있는 공급부분에 더 민감하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댓글

  1. Saudis See Need to Cut Oil Output by 1 Million Barrels a Day -- Bloomberg 11/12자

    답글삭제

댓글 쓰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부동산투자이야기] 비싼 아파트를 사면, 돈을 깔고 앉는 것일까??

평소에 이런 생각을 많이 했다. 비싼 아파트를 사고나면, 그만큼의 쾌적한 거주환경에서 생활할수는 있겠지만, 자칫 너무 많은 돈을 거주비에 들이는게 아닐까? 어차피 부자여서 비싼 아파트나, 전원주택에 호화롭게 살아도 된다고하면 상관없지만, 돈 없는 30~40대들이 빚까지 얻고 목돈 들여 큰맘먹고 최소 6~7억짜리 서울의 신규 아파트를 구매했다고 생각해보자. 7억짜리 아파트에 산다고해서, 생활수준이 크게 나아지는가?? 개선이 되는가?? 아니면 월급이 오르는가? 사업이 잘 되는가?? 현재시세로 23평대 약 7억정도되는 아파트에 산다면, 평당 3천만원이 된다. 평당 3천만원이면, 나름 이름있는 서울의 아파트일 가능성이 많다. 강남은 말할것도 없이 당연히 훨씬 더 비싸고, 20평대에 7억정도면 분당 판교지역이거나 광명 철산지역정도 될것 같다. 이렇게 서울의 비싼 아파트에 산다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 원래 집에 돈이 좀 있었거나, 기존에 부동산으로 돈을 좀 벌어놓은 사람이라면 모르겠다. 하지만 단순히 한달에 세후 월급 300백 정도 버는 월급쟁이 직장인이 기존 전세보증금이나 3~4억짜리 아파트를 팔고 추가로 3~4억을 대출받아 매수할 경우 말이다. 어떻게되었건, 같은 동네주민으로서 수준을 엊비슷하게 맞춰가야할것이고, 맞춰가려 하다보면 생활비만 더 지출할것 같다.  그냥 혼자산다면 별로 신경쓸게 없겠지만, 아이를 키우는 집이라면 얘기가 많이 달라진다. 엄마들끼리의 커뮤니티가 형성되고, 학원이라도 몇개 같이 보낼려고 하거나 공동과외수업을 받자고도 할수 있다. 입히는 옷가지부터 고급자전거, 인라인 스케이트등 놀이기구는 물론이고 장보는 물가도 더 비쌀것이다. 대한민국에서 남부럽지 않게 살기란 참 힘든 일인것 같다. 결국 비싼 아파트에 사는것은 외적으로보이는 이미지일 뿐이지...실속은 없다. 이렇게 얘기하면 다른 생각을 가지고 따지는 사람들이 꼭 있다. 부자동네에 살아야 부자들과 더 많이 어울릴수 있고, 정보도 ...

신세계 스타필드 (Starfield) 과연 성공할 것인가??

위 사진은 코엑스 별마당 도서관에서 찍은 것이다. 코엑스에서 만난 지인이, 이제 코엑스가 아니라 스타필드라고 했다. '무슨 말인가요??" 신세계 스타필드가 코엑스 쇼핑몰을 인수했다고 했다. 인수하면서 위와 같은 별마당 도서관을 설립했다고 한다. 코엑스는 건물 자체의 이름으로 알고 있었는데, 인수자체가 되는 개인이나 법인의 것이었나?? 하는 첫번째 의문이 들었고, 두번째로는 수익성도 없는 별마당이라고 이름붙인 '거대 도서관'을 서울 한복판 금싸라기땅에 설립한 이유가 무엇일까? 회원제도 아니고, 누구나가 자유롭게 입출입이 가능한 도서관 말이다. 궁금증이 일어나서 '코엑스'에 대해서 다시 찾아보았다. '위키백과'에 의하면 코엑스 소유자 : 한국무역협회라고 나와있지 않은가?? 음...그렇다면 코엑스는 넓고 크니까 쇼핑몰만 팔수도 있을까 생각에 상세보기를 눌러 확인해 보았다. 역시나...1979년에 최초에 만들어졌고, 이후 2013년 전체 리노베이션(리모델링)에 들어갔으나, 코엑스몰 은 실적 부진으로 운영권이 신세계로 넘어가 '코엑스 스타필드'가 되었다고 나와있다. 그렇다면 국제기구 행사나 전시회성격의 것을 제외한 코엑스 쇼핑몰에 관한 운영권은 신세계가 가져간다고 보면 되겠다.  신세계가 인수하게된 계기도 기존 쇼핑몰 수익이 좋지 않았기 때문이라는데, 신세계는 무슨 생각으로 인수를 하게 된것일까? 2016년 9월 스타필드 하남을 필두로, 지금 설명하고 있는12월 코엑스 스타필드, 3호점으로 2017년 8월 고양에 스타필드를 설치하였고 앞으로도 마곡, 청라, 안성, 창원, 수원, 구월에도 세운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건..뭐...롯데 따라하기인가?라고 잠깐 생각이 들었으나....소비자들에게 온라인상에서 채워줄수 없는 것들을 오프라인 상점에서 체험하고 시현해주기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듯하다. 그 노력의 일환으로 코엑스 스타필드의 별...

[주식투자이야기] 경보제약, 상장시 공모가대비 뻥튀기 2배.....그 이후는??

경보제약 공모가 (경보제약 주가흐름: 월봉차트) 위 차트를 보면 경보제약의 공모가가 궁금해진다. 도대체 공모가가 얼마였길래, 상장한 해당월에 38,500원까지 상승했던주가가 내리막길을 걷다가 3년째 하락 및 횡보를 하게되는 걸까 싶다. 한마디로 얼마나 뻥튀겨 먹였길래? 라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애초에 공모가가 높았던 것일까? 아니면 상장시초가가 높았던 것일까? 물린 사람은 누구고, 팔고 나온 사람은 누구일까? 그럼 이제, 3년전으로 돌아가 공모가를 찾아보도록하자. (최초 정정전 공모가액 13,000원) (정정후 공모가액 15,000원) 고가인 38,500원대비, 공모가는 15,000원으로 높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상한 점이 있다. 왜 공모가를 13,000원으로 지정했다가 2,000원을 올려 15,000원으로 변경했을까? 13,000원의 2,000원이면 약 15%가 넘는데, 결코 작은 숫자는 아닌 것이다. 아무튼, 공모가가 확인되었으니, 위에서 품었던 의문에 일부는 해결된 것 같다. 부동산으로 빗대어 얘기하자면 청약당첨후, 전매가 풀리자마자 프리미엄 2배먹고 나온것이다. 왜?? 공모가 15,000원에 상장 시초가가 30,000원, 최고가 38,500원, 최저가가 28,100원이니 못해도 1달안에 2배는 먹었을꺼라는 것이다. 청약한지 1달도 채 못되어 2배가 넘는 수익율이라면...... 이정도 수익율이면 할만 하지 않은가? 그래서 공모주만 연구하는 사람이 있는지도 모르겠다. 그렇지만, 여기서 추가로 생각해 봐야할 것이 있다. 바로 '보호예수' 이다. 공모주투자만 해도 이렇게 뻥튀기가 되는데, 상장전 장외주식을 들고 있었던 대주주나, 기타임원들의 시세차익은 안봐도 비디오다. 그래서 일반 투자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상장후 작게는 6개월에서 길게는 5년까지 보호예수기간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우리사주조합의 물량도 팔지 못했을것이라는 ...